▲ 8월부터 밤 11시 이후 서울역에 있는 홈리스들을 강제 퇴거시키겠다는 서울역의 방침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25일 이른 10시 30분 서울역 정문 앞에서 열렸다. |
지난 20일 한국철도공사(사장 허준영)가 민원이 잇따른다는 이유 등으로 오는 8월부터 밤 11시 이후 서울역에 있는 홈리스들을 용역을 동원해서라도 강제로 퇴거시키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홈리스행동, 빈곤사회연대, 동자동사랑방, 인권운동사랑방, 노숙인인권공동실천단 등 14개 홈리스관련단체들은 25일 이른 10시 30분 서울역 정문 앞에서 '거리 홈리스 강제 퇴거 조치 서울역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정영진 사무처장은 “외환위기 이후 진료소를 운영해왔는데 노숙인 사망률은 일반인 사망률의 3배에 이르는 실정”이라면서 “서울역 강제 퇴거 조치는 이들을 더욱 험한 환경으로 내모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빈곤사회연대 최예륜 사무국장은 “지난 2006년 서울역 공안들이 사경을 헤매는 홈리스를 손수레에 실어 역사 바깥으로 짐짝처럼 내 버려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을 잊지 않고 있다”라면서 “빈곤한 사람들을 더욱 빈곤하게 만드는 사회구조에 대한 총체적인 대안을 마련하기는커녕 관광이나 미화 등을 이유로 홈리스를 내쫓는 조치는 즉각 철회돼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서울시노숙인복지시설협회 서정화 사무국장은 “서울에 있는 43개 노숙인복지시설은 이미 만원이며 더는 노숙인들을 받아들일 환경이 아니다”라면서 “예산 지원 등 아무런 지원도 없이 서울역의 노숙인들에게 인근의 시설로 가라고 하는 것은 무책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 기자회견 참가자들이 강제 퇴거 방침을 밝힌 서울역과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는 서울시 등을 규탄하고 있다. |
인권운동사랑방 미류 활동가는 “최근 서울시가 홈리스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쉼터의 규율이 엄격하고 사생활 보호가 되지 않아 홈리스들이 쉼터 입소를 꺼린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말한다”라면서 “이 같은 사실은 지난 십 년 전부터 관련단체들이 수없이 말해온 사실인데 이제 와서 그런 사실을 알았다고 하니 어이가 없지만, 앞으로 다른 대책을 세워보겠다고 하니 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역에서 한 달 전부터 노숙을 하고 있다고 밝힌 70대 남성 홈리스는 당사자 발언을 자청해 “우리도 6·25 전쟁을 겪으며 고생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서 “무조건 내쫓을 것이 아니라 먹고 살 대책을 마련해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민주노동당 정성희 최고위원은 “허준영 사장은 안으로는 철도노조를 깨뜨리기 위해 200명 넘게 해고하고, 밖으로는 서울역에서 노숙인들을 강제로 내쫓으려 하고 있다”라면서 “허 사장이 경찰청장 출신이라서 사회적 약자의 문제도 인권의 문제가 아닌 치안 문제로 접근하는 게 아니냐?”라고 질타했다.
이들 단체는 기자회견문에서 “프랑스 역시 90년대 초반 거리 홈리스로 인한 민원에 직면했던 적이 있으나, ‘국철의 연대위원회’를 통한 숙박, 구직, 상담 지원 등을 통해 홈리스들이 긍정적으로 철도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 민원을 해결해왔다”라면서 “서울역의 강제퇴거 조치와는 정반대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서울역과 철도공사는 민원이란 후광 뒤에 숨어 이용객과 홈리스들을 이간질하는 비열한 작태를 중단해야 할 것”이라면서 “서울역과 철도공사는 노숙인 강제퇴거 조치를 즉각 철회하고, 철도 이용객과 홈리스 인권보호를 병행할 수 있는 공공역사의 사회적 책임 수행에 적극 나서라”라고 촉구했다.
한편 서울시는 서울역 홈리스 강제퇴거에 대한 논란이 일자, 지난 24일 ‘거리노숙인 보호+자활+감소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희망 노숙인에게 특별자활(200명) 및 임시주거(100명) 지원 확대 시행 △서울역 인근 응급구호방 10개소 운영 및 정신보건 전문요원 투입 △24시간 이용 가능한 ‘노숙인 자유카페’ 운영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대책 마련을 위해 서울시가 지난 21일부터 22일까지 홈리스 200명을 대상으로 벌인 긴급 욕구조사에서는 쉽터 등 시설입소를 꺼리는 이유로 단체생활 및 엄격한 생활규칙을 꼽은 사람이 51%, 사생활 보장이 어렵다는 점을 꼽은 사람이 24%였다. 또한 응답자 중 탈노숙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독립주거공간(38%)과 안정적 일자리(28%)를 꼽았다. (기사제휴=비마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