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포조선 현장조직, 산재사망 하청노동자 추도제

관리자와 몸싸움 "사업주 처벌, 자율안전관리제도 폐기하라"

17일 오후 12시 30분 현대미포조선 울산공장 안 민주광장에서 지난 4일 족장 설치 작업 중 격벽과 함께 떨어져 숨진 하청노동자 남 아무개씨를 기리는 추도제가 현장조직 현장노동자투쟁위원회 주최로 열렸다.

현장투 김석진 의장이 산재사망 책임자 처벌과 자율안전관리제도 폐기를 촉구하는 손팻말을 들고 추도제를 시작하자 관리자들이 몰려들었고 이를 보고 달려온 현장조직건설준비모임 회원들과 몸싸움이 벌어졌다.

  현대미포조선 관리자들과 현장조직 회원들이 몸싸움을 벌이는 가운데 손팻말을 들고 산재사망 하청노동자 추도제를 하고 있는 김석진 현장노동자투쟁위원회 의장 [출처: 미포조선 사내하청노동자]

회사 관리자들과 현장조직 회원들이 맞붙는 가운데 김석진 의장은 준비한 추도사를 읽고 추도제를 끝마쳤다.

김석진 의장은 "이번 하청노동자 산재사망 사고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과 사업주 엄중 처벌은 물론 재해 은폐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는 자율안전관리제도 폐지를 위해 울산지역 노동사회단체들과 연대해 노동부를 상대로 강력한 후속투쟁을 벌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지난 2008년 미포조선 현장투 김석진 의장과 19개 울산지역 노동사회단체 대표들은 울산노동지청을 항의방문해 잇따른 미포조선 사내하청노동자 산재사망에 대한 책임자 처벌과 자율안전관리제도 철폐를 촉구하고 미포조선 사업주를 고발했다.

김 의장은 지난 2008년 4월 현대미포조선 사내하청노동자들의 산재사망사고가 잇따르자 공장 안에서 추도제를 열고, 울산지역 19개 노동사회단체 대표들과 함께 자율안전관리제도 폐지와 원청 사장 처벌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연 뒤 노동부에 원청 사업주를 고발했다. (기사제휴=울산노동뉴스)

추도사

죽지 않고 일하고 싶다
또 한 명의 사내하청노동자가 죽어 나갔다
서른 다섯, 결혼한 지 2개월 되었단다
혼인신고도 아직 하지 않았단다

살얼음 걷듯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조선소 노동자는 살아도 산 목숨이 아니다
어쩌면 우린
죽음에 면역되어 있는지도 모른다

이윤 극대화에 눈 먼 자본가들
저들은 입만 나불거리며 다그치고
우린 몸으로 때우며 다치거나 죽임 당하면
값싼 중고기계 부품 값으로 계산되어
기억에서 멀어져간다

며칠만 지나면
젊은 사람이 참 안됐구먼
에이 죽은 놈만 불쌍하지
슬픔은 잠시 뿐, 죽음의 마무리 조건인
보상액수에 대한 얘기만 오고가고
안 봐도 뻔하다 여태까지 그래왔으니

오늘도 노동자 죽음을 뒤로 한 채
우리가 만든 배 명명식을 하면서
휘황찬란한 식장에는 높으신 나리들
손뼉 치는 소리와 뱃고동 소리는 하늘을 찌른다

저 배 어딘가에는
죽어간 동료의 땀 냄새가 배어 있는데
태그

미포조선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노동뉴스 편집국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하청철폐

    스스로의 투쟁을 대신해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죽을 힘을 다해 나를 믿고 동지를 믿고 우리가 태어나 새로운 언어를 배운 곳
    공장점거파업의 삶을 배우는 일이다
    서로가 서로를 돌보는 노동을 시작하는 일이고 웃음을 회복하는 일이다

  • 노동부는 들어라

    재해 은폐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는 자율안전관리제도

  • 하청없는 세상

    10년해고 인생// 하청노동자 복직투쟁 테러// 하청추도제// 참세상에 올라오는 기사를 검색해 읽으면서 21세기 노예노동 척살하고 노동자노동 왜 이래도 어려운지// 동지들이 있어 희망끈을 놓지않습니다// 노동해방 그날까지// 동지여 힘내십시오

  • 국감

    [국감] 무용지물 '조선업 노사 자율안전관리정책' 2009-10-14 08:23:03
    노동부가 추진해온 ‘조선업 사업장 노사 자율안전관리정책’이 산재은폐, 노조배제등으로 엉망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은 부산지방노동청 국정감사에서 전국금속노조와 함께 분석한 ‘조선업 노사 자율안전관리 실태’를 공개했다.

    홍희덕 의원과 금속노조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조선업의 재해율은 1.76%로 전 산업 재해율(0.71%)의 2.4배에 달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동부가 추진하고 있는 ‘조선업 사업장 노사 자율안전관리정책’은 사업장의 안전관리를 노사가 함께 평가하도록 하고 우수업체로 선정되면 안전보건 감독을 면제해왔다. 그러나 자율안전관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산재가 은폐되고 있다는 것이 홍 의원의 설명이다.

    홍의원의 분석에 따르면 조선업에서 ‘노사자율 안전수준평가’에서 노동자 대표를 배제하고 이루어진 경우가 무려 86.7%에 달해 사실상 노사자율관리가 무색해졌다. 노동부의 자료에따르면 노측 참여자로 기재된 이들의 대다수는 부장, 차장등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대리인인 경우가 다수였다.

    또한 조선업체들은 노조측 대표가 상부조직인 금속노조의 방침으로 불참했다고 하고 있으나 실재 확인결과 금속노조는 그런 방침을 시달한 바가 없으며 회사로부터 평가참여요청조차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 진보통합

    비정규직 도와줄 미포조선 정규직 딱 몇명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