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SNS 영향력 훨씬 커진다

19대 총선, SNS 영향력 미미...야권이 투표참여 동기 제시 못해

선거에서 SNS의 영향력은 줄어든 것일까?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여론 형성이 지난해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와 2010년 지자체 선거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 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19대 총선 투표율이 54.3%로 예상보다 다소 낮게 나오자 SNS의 영향력이 축소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장덕진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트위터나 SNS 자체보다도 야권이 투표참여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해 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장 교수는 13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현해 “글의 총량은 지난 번 10.26(서울시장 보궐선거)때 비해서 5배 정도 늘었고, 글을 쓰는 사람의 숫자도 2배 정도로 늘었다”고 전하며 “트위터 네트워크데이터만 가지고 보면 트위터량을 중심으로 하면 이번 선거 관련한 트위터에서의 열기는 오히려 지난 10.26 때보다 몇 배나 뜨거웠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런데 이게 실제 투표로 이어지는 데에 있어서 기대에 못 미쳤던 것인데 그 부분은 트위터 자체에 대한 이제 평가보다도 사람들이 실제로 오프라인에서 투표라고 하는 연대행위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들을 야권이 충분히 제공해주지 못했다”며 실제 야당의 총선전략의 문제점이 SNS 내부에도 반영이 돼 투표율 부진의 원인이 되었다는 설명이다.

또한, 장덕진 교수는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SNS 내부의 소통도 다소 일방적으로 진행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트위터 사용량 중에서) RT(남이 쓴 글을 그대로 전송하는 것)가 제일 많이 늘어났다”며 “소셜미디어라고 하는 특성상 사람들이 서로 얘기를 주고받으면서 수평적으로 연결이 되고 친구가 되고 이런 다음에 다 같이 우리 투표하자, 이렇게 해서 오프라인 행동에 나서야 되는데 수평적으로 연결하는 소셜미디어에 소셜하는 성격이 일정부분 사라지고 일방적으로 ‘투표 참여하자’라고 독려하는 RT만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SNS 상에서 소통되는 글의 구성이 이렇게 변하다보니 “소셜미디어가 기존 미디어랑 별 차이가 없는 그런 결과를 낳게 된 부분”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SNS 이용자들이 비슷한 정치성향 끼리끼리 연결되며 다른 진영과 상호간 소통이 없는 것 아니냐는 분석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을 제시했다.

장덕진 교수는 “(SNS를 처음 사용하는) 연결단계에서의 비슷한 성향끼리의 연결이 약 한 65% 내외거든요. 그러면 이제 무작위로 연결하더라도 50% 정도는 자기랑 비슷한 성향이 되는 건데 그것보다 15% 정도 높다는 건 끼리끼리의 성향이 그렇게 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두 번째 단계인 공감의 단계, RT가 많이 이루어지고 이런 단계로 가면 몇 개 의견으로 집약되는 게 사실인데, 그거야(그렇게 의견이 집약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며 SNS가 끼리끼리 라는 것은 사실관계가 정확하지가 않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김용민 막말 파문이 터진 후 SNS 내부 변화를 설명했다. 장 교수는 “막말 파문이 터진 이후의 변화를 보면 야권지지자 내부에서는 생각보다 이걸 옹호하는 쪽하고 비판하는 쪽이 상당히 팽팽한 대립이 이루어졌다”며 “오히려 재미있는 변화는 여권지지자 내부에서 일어났는데 그 전까지는 보수층 유권자에서 새누리당을 지지하느냐 마느냐를 놓고 상당한 대립이 있었다. 그런데 막말사건 이후에 이게 야권을 비난할 좋은 소재가 되니까 그 대립이 상당부분 사라지고 그걸 중심으로 뭉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한편, 장 교수는 총선과 달리 대선에서 SNS의 영향력은 훨씬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대선은) 총선처럼 246개 지역구로 갈라지는 것도 아니고 딱 두 명한테 초점을 맞추면서 아젠다도 몇 개로 압축된다”며 “역대 대선에서의 표 차이를 보더라도 2007년 대선을 제외하고는 매번 박빙의 승부였기 때문에 SNS가 캐스팅보트를 쥘 수 있는 선거가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장덕진 교수는 “이제 변수는 야권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어떤 후보를 내세우고 어떤 비전을 제시하느냐, 이 조건이 맞아 떨어지면 큰 파장이 있을 것이고 이제 이번 총선처럼 오프라인에서도 야권이 선거 승리의 가능성을 스스로 닫아버린다, 그렇다면 SNS의 파장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즉, SNS 영향력도 오프라인의 한계 내에서 작용된다는 지적이다.
태그

선거 , SNS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정재은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