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노조는 서울지하철 6호선 기관사로 일하던 황 모(40) 씨가 19일 오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20일 밝혔다. 공황장애와 우울증이 이유로, 노조 관계자는 “전날 오후 4시경 출근하겠다고 말한 뒤 경기도 고양시에 자신이 살던 아파트 옥상에 올라가 투신했다”고 전했다.
주변 동료들에 의하면 고인은 평소 과묵하고 책임감이 강했으며, 기관사 업무에 자긍심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황 씨는 지난해 10월 한 차례 사고를 겪으며 심리적 불안을 겼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황 씨가 운행하던 열차에서 한 승객의 가방이 끼었는데, 그 상태에서 열차가 움직였던 것이다. 당시 승객은 크게 다치지 않았지만 사측은 황 씨에게 경위서를 작성하게 했고, 시말서를 요구하며 호되게 문책했다.
이후 황 씨의 심리적 불안 증세는 더 커졌던 것으로 보인다. 노조에 의하면 황 씨는 사고 재발 우려에 대한 ‘스트레스성 장애’ 소견을 받고, 병원을 다니며 신경안정제 등의 약물치료를 받았다
황 씨의 주변 사람들은 “지난 해 11월부터 이상했다. 누워있기는 하나 잠도 못 이루고, 점심을 먹고는 저녁에 뭐하지 걱정을 했으며, 시계를 계속 보며 시간이 빨리 가네, 뭐하지 하며 불안해했다”며 “어떨 때는 한참을 멍하니 창밖을 보며 앉아 있었다고 한다”고 증언했다.
노조는 지난해 3월 기관사 이 모 씨가 왕십리역에서 투신자살한 이후 박원순 서울시장의 지시로 구성된 기관차 처우개선 특별위원회가 아무런 성과도 없이 10개월가량 지나며 기관사들이 “절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황 씨의 유가족들도 “기관사 한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기관사의 문제”라며 서울시와 도시철도공사에 근본적인 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3월 박원순 시장이 취임한 후 자동운전 시스템으로 다시 전환되긴 했지만, 기존 수동운전 시스템은 모든 사고의 책임을 전적으로 기관사가 져야 한다. 차량 앞뒤로 기관사가 2명씩 타는 지하철 1~4호선의 서울메트로와 달리 지하철 5~8호선의 도시철도공사는 여전히 1인 승무원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혼자서 운전하고 책임져야 한다는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이다.
노조는 “10개월의 긴 시간동안 사측은 ‘NO’만 되뇔 뿐 기관사 처우개선을 위한 어떤 노력도 하려 하지 않았다. 오히려 무인운전을 해야겠다느니 기관사가 너무나 편해서 정신질환이 걸렸다느니 막말을 일삼았다”며 “결과적으로 기관사들이 처해 있는 암울한 현실은 전혀 변한 것이 없다”고 비판했다.
![]() |
▲ 공황장애를 앓던 도시철도 기관사 이 모 씨가 지난해 3월 또다시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발생하자 노동, 사회단체 관계자들이 기관사의 노동조건 개선을 요구했다. [자료사진]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연맹, 서울도시철도노조쟁의대책위원회는 성명서를 내고 “작은 사고 하나라도 나면 해당 기관사에게 모든 책임을 몰아 매도하는 조직문화와 통제 위주의 조직관리 속에서는 앞으로도 또 다른 이 모 씨, 황 모 씨와 같은 기관사가 나올 수밖에 없다”며 황 씨의 죽음이 전적으로 사측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또 노조는 “기관사 처우개선 특별위원회에서의 소극적이고 비상식적인 행태도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며 “처우개선 특별위원회에서 교번제 실시 등 조금이라도 개선되길 바랐던 현장의 많은 기관사들을 절망에 빠뜨린 책임을 통감하고 사측은 이제라도 전향적인 자세로 나서야 할 것이다”고 요구했다.
노조는 고인의 명예회복과 유족생계대책 마련, 재발방지대책을 사측에 요구한다는 입장으로 22일 오전 10시 30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다.
한편 공황장애 등 정신질환을 앓던 기관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게 벌써 여러 번이라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2003년 8월 도시철도의 두 기관사가 자살했고, 2012년 3명의 기관사가 자택이나 자신의 일터였던 선로에 뛰어들어 숨을 거뒀다.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7월 휴먼에러연구위원회와 직무환경개선연구소를 만들어 자살 예방에 나섰지만 공황장애를 앓는 기관사들의 자살을 막지 못하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