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혁명 대장정' 전국 3곳서 동시출발

서울·창원·제주를 출발해 3박4일 후 세종시로...

  전교조 등 34개 단체로 꾸려진 교육혁명대장정 전국조직위원회가 11일 오전 서울 등 전국 3곳에서 오는 14일까지 진보교육 실현을 알리는 3박4일 간의 대장정을 시작했다. 사진은 11일 오전 10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대장정의 시작을 알리는 기자회견 장면. [출처: 교육희망 최대현 기자]

“실천하지 않으면 혁명은 없다. 20년에 걸친 신자유주의 교육정책과 학교기업화라는 ‘자본 중심의 교육’의 질주를 멈춰야 한다. 그리고 ‘공공성과 평등’에 기초한 ‘사람중심의 교육’이 꽃필 수 있도록 교육체제를 혁명적으로 전환해야 한다. 세월호 참사 이전의 교육과 이후의 교육은 분명 달라져야 한다. 경쟁과 서열화, 불평등의 교육을 폐지하고 협력과 평등의 새로운 공교육을 만드는 것이 시대적 요구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의 교육은 달라야 한다.”

11일 오전 10시 서울 광화문광장. 올해로 4년째를 맞는 ‘교육혁명 대장정’을 시작하는 50여명의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민주노총과 전교조,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등 34개 단체로 꾸려진 교육혁명대장정 전국조직위원회(대장정 조직위)는 오는 14일까지 진행되는 대장정에서 △전교조 법외노조 철회, 학교비정규직 정규직화 △특권학교 폐지, 무상교육 실현 △입시폐지, 대학평준화 △대학 구조조정 반대, 공공적 대학체제 개편 등의 의제를 국민들에게 알릴 예정이다.

김정훈 전교조 위원장은 “교육이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 대학에 미세하게 남은 공공성마저 무너뜨리려 한다. 그렇게 되면 초·중·고 모든 교육이 돈벌이 대상이 될 것”이라며 “현정권의 교육정책에 맞서 싸우겠다”고 밝혔다.

대장정 조직위는 특히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118일째인 이날 유가족들이 단식농성을 벌이는 곳에서 대장정이 시작되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대장정 조직위는 “최근 여야합의로 8.13국회에서 통과 예정인 세월호 특별법으로는 진실규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유가족들이 요구하는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보장하는 특별법을 만들라고 촉구했다.

대장정 출발을 알리는 기자회견에 앞서 이들은 오전 8시부터 9시까지 올해 평가대상인 서울 자율형사립고 14곳 앞에서 일반고 전환을 촉구하는 1인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서울 등 7곳 진보교육감과 면담 주목

같은 시간 경남 창원시와 제주도에서도 대장정이 시작됐다. 전국 3곳에서 출발한 대장정 참가자들은 오는 14일 교육부가 있는 정부세종청사에 도착해 ‘자사고 폐지와 대학구조조정 중단 교육주체 결의대회’로 3박4일의 대장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대장정 조직위는 서울과 경남, 부산, 충남, 전남, 광주, 전북 등 7곳의 교육감과 면담을 갖고 진보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합의를 이끌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기사제휴=교육희망)
태그

교육혁명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최대현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