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죽음의 공장’으로 불린 현대중공업은 올 한해도 직원 안전문제에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해야 한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안전경영에 집중하겠다고 대내외에 공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현대중공업이 안전한 사업장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염려되는 부분이 많다. 현대중공업 노동조합 관계자는 “노동자의 감시와 참여와 없는 대책은 사실 별무소용하다”며 “노동자들이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테이블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한 해 현대중공업 울산 공장에서만 하청노동자 9명이 사망했다. 군산 공장과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의 사례까지 더하면 사망자는 13명으로 늘어난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3, 4월 두 달 동안에만 8명이 사망하자 안전결의대회를 개최하는 등 안전경영을 실시할 것이라고 대내외에 공표했다.
현대중공업 사내 체육관에서 열린 결의대회에는 당시 이재성 현대중공업 회장을 비롯해 최원길 미포조선 사장, 권오갑 현대오일뱅크 사장, 하경진 현대삼호중공업 부사장 등 계열사 사장단과 임직원 4,000여명이 참석했다.
현대중공업은 언론에도 총 예산 3,000억원을 투입해 재해위험 요인을 점검하고 보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이 이때 밝힌 개선대책은 △안전보건공단의 안전종합진단을 통한 체질 개선 △협력회사 안전전담요원 충원 △안전환경조직을 대표 직속 안전환경실로 개편하고 책임자 부사장급으로 격상 등이다.
하지만 지난해 5월 이후 잠잠했던 사고는 8월부터 다시 터졌다. 지난해 사망자 13명 중 5명은 현대중공업이 안전경영을 선포한 난 뒤에 발생했다. 현대중공업이 내놓은 대책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을 받는 이유다.
노조 노동안전실 관계자는 “예산 3,000억원은 늘어난 안전요원 인건비와 안전장비 충원 비용으로 거의 다 썼다”며 “안전요원도 전문가들이 아니다. 불씨를 감시하거나, 벗겨진 전선 피복 테이핑 수준의 비전문가들이어서 안전요원이라기도 민망하다”고 설명했다.
또 노사가 참여해 산업안전보건 문제를 논의하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지난달 14일(2014년 4/4분기) 사측 대표위원이 상무급으로 격하되면서 파행했다. 2분기부터 부사장급이 참여했지만 4분기에 돌연 상무급이 들어온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2분기부터 부사장이 들어왔지만, 4분기에 상무가 들어왔다”며 “일단 2014년 산보위는 얼마전에 상무급에서 정리했다. 올해부터는 노사 모두 대표가 참여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안전보건공단의 종합진단도 큰 의미가 없다고 지적한다. 노조 관계자는 “공단이 실제적으로 회사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제안을 할 수 없었다”며 “안전관리요원 교육 내용을 지적하는 수준이어서 큰 효과는 없다”고 말했다.
김형균 노조 정책실장은 “건설업계에서 많이 쓰는 방법인데, 노사 양측 모두에서 원하청 대표들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며 “노동자가 직접 자기 안전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용노동부 울산지청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이전에 울산에서 발생한 4건의 하청노동자 사망사고는 지난해말 조사가 마무리됐다.
이 관계자는 “사고 당시에 작업정지 명령을 내리고 필요한 안전조치는 완료했고, 당시 해당 사고현장의 원하청 책임자들을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 덧붙이는 말
-
이상원 기자는 울산저널 기자입니다. 이 기사는 울산저널에도 게재됩니다. 참세상은 필자가 직접 쓴 글에 한해 동시게재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