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메르스 저지 특위 위원들은 18일 오후 국회 기자회견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메르스 확산사태의 책임으로 병원 폐쇄까지 당한 의료기관에 대해 정부가 현행법에서 엄격히 금지하고 있는 원격진료를 허용해 준 것”이라며 “사상 유례가 없는 특혜조치”라고 비판했다.
![]() |
[출처: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화면 캡쳐] |
이어 “공공의료를 붕괴시켜 신종 감염병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도록 한 정부가, 국가적 혼란을 틈타 의료영리화 정책의 진원지인 재벌이 운영하는 병원에 대해 가장 절실히 원했던 원격진료를 허용해준 것”이라며 “도대체 박근혜 정부의 삼성 감싸기의 끝은 어디까지인가?”라고 반문했다.
새정치 특위는 만성질환자 등 경증 재진 환자는 지역 인근 병의원을 통해 대면진료를 유도하고, 필요하다면 의사협회 등 의료계와 협의해 보완조치를 마련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도 논평을 통해 “우리나라 최고 병원을 자랑하던 삼성서울병원이 메르스 전국확산의 진원지가 된 와중에 한국 의료를 더욱 왜곡시킬 원격의료를 기습적으로 시행하기로 한 정부와 삼성서울병원의 야합은 용납할 수 없는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맹비난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원격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고, 법에서도 금지하고 있다”며 “정부는 더 이상 삼성서울병원에 무릎 꿇지 말고 원격의료 허용조치를 전면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도 논평을 통해 “어제 삼성서울병원장은 대통령에게 머리를 숙였다. 국민에게 사과해야 할 대통령이 병원장에게 사과를 받는 모습은 우리를 아연하게 한다”며 “우리는 삼성서울병원 병원장이 대통령에게 머리를 숙이고 얻은 것이 원격의료의 허용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