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보험 상담사들의 첫 파업 - 공공성 회복을 위한 투쟁[3]
[기고] 제2의 인국공?… "외주화 강행한 정부와 건강보험공단이 지탄받아야"
공단과 보수언론은 고객센터 상담업무 직영화 요구를 ‘제2의 인국공 사태’에 빗대며 파업투쟁 3주차에 접어든 노동자들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특...
공단과 보수언론은 고객센터 상담업무 직영화 요구를 ‘제2의 인국공 사태’에 빗대며 파업투쟁 3주차에 접어든 노동자들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특...
지난 1월 28일까지 카카오모빌리티는 중앙노동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단체교섭 개시 공고해야 했으나 이에 불복하고 행정소송이라는 길을 선택했다. ...
아시아나케이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거리에서 정리해고 철회 투쟁을 시작한 지 2월 18일로 벌써 280일째입니다. 해고자들은 이번 명절도 거리에서...
당시 강귀섭 대표이사가 28명 해고노동자 복직에 관한 기안서 작성을 지시했으나 하석태 교통사업본부장 등 실무자들이 이를 거부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심사하는 데 167일이 걸렸고, 그 기간 256명이 산업재해로 사망했다. 법이 국회에서 표류하다가 결국 ‘중대재해처벌법’으로...
백기완 선생의 최근 10년의 행보는 주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 현장이었다. 그리고 오늘, 비정규직 해고 노동자들은 백기완 선생이 안치된 서울...
이재학 피디가 세상을 떠난 지 1년이 되었다. 청주방송은 자신들의 이름을 걸고 합의한 내용에 대해 이행을 거부하고 있다. 청주방송의 태도 돌변에...
16일째 파업 투쟁 중인 건강보험 고객센터 노동자들이 “지금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파업의 책임은 정규직 전환 정책을 끝까지 책임지지 않은 문...
아시아나케이오 노동자들의 투쟁이 어느새 280일째를 향해 가고 있다. 실질적 사용자인 박삼구는 무엇이 두려운지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뒤에 머리카락...
고용정책이나 실업정책에는 임금, 해고, 노동조건, 노동권 등 여러 가지 노동정책에 대한 고려가 함께 수반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는 정치적 쟁점들...
무기계약 전환자들 중에는 70세가 넘은 48년 49년생도 있다. 회사는 정규직 전환 실적을 올리기 위해 이미 자회사 정년이 지난 노동자들에게 ‘...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노동자들은 2017년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발표 당시 정규직 전환이 이뤄질 것이라 기대했다. 정부 가이드...
8일 오전 공공운수노조는 ‘국민건강보험 고객센터노동자 노동건강실태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많은 상담사들이 정밀 진단이 필요할 정도의 우...
5곳의 해고사업장 노동자들은 8일 오전 10시,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부문 1천명의 해고 사태를 설 전에 해...
‘김진숙 희망뚜벅이’ 마지막 날인 7일, 1300여 명이 흑석동에서 출발해 청와대에 도착했다. 해고자 등 시민들로 이뤄진 ‘희망뚜벅이’들은 청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