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가 대안이 되는 방식, 아래로부터의 급진적 연대[1]

[이슈③] 반자본주의 말하는 계급X정체성 정치 운동의 부상…OWS, BLM, F99

밀레니얼 세대의 삶은 지구적으로 유사한데, 어째서 유독 미국과 영국에서 사회주의 리부트 흐름이 생겨난 걸까? 도대체 영미 사회주의자들이 부상한 ...

요양보호사, 코로나19로 ‘휴업 상태’, ‘무급 휴가’

요양서비스노동자, “보건복지부 지침에 재가방문요양보호사 누락돼”

요양서비스노동자들이 보건복지부의 코로나19 지침에 재가방문요양보호사가 배제돼있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마사회, 문중원 합의 파기…노조, 본관 진입

마사회, 합의 후 노조 입장 문제 삼아

9일 오후 한국마사회가 고 문중원 열사 관련 합의를 파기했다. 마사회 측의 합의 파기에 공공운수노조 조합원 등 200명은 한국마사회 렛츠런파크부...

필요할 때만 비정규직을 사람으로 봐요

[연정의 바보같은사랑](112) 한국가스공사 비정규지부의 직접고용 투쟁 이야기 ②

오후 2시가 되자 정규직 노동자들이 우르르 쏟아져 나온다. 한국가스공사 정규직 노동자들은 금요일 오후 2시에 조기퇴근을 한다. 서울에서 출퇴근 ...

미래 먹어치우는 자본주의[2]

[이슈②] 자본주의와 불평등 인포그래픽

이 체제가 위기에 접어든 지 이미 오래다. 부와 빈곤, 과잉과 결핍 사이의 파렴치한 격차는 자본주의에서 ‘노멀’이다. 사회와 생태 그리고 경제적...

서구 사회주의 리부트, 미래 없는 밀레니얼의 선택[1]

[이슈①] 기후·사회재생산·부채·경제 위기…불안과 걱정에서 자유로운 세계를

밀레니얼 세대의 소득은 다른 어떤 세대보다 낮지만, 더 많은 등록금과 임대료를 낸다. 그래서 연애, 결혼, 출산, 집 등 포기해야 하는 것이 늘...

‘싸우는 여성’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소설가, 박서련[1]

[인터뷰] 조선 여성노동자 《체공녀 강주룡》에서 현재의 청년 여성을 그린 《마르타의 일》까지

지난해, 작가는 현실사회로 돌아와 청년 여성의 삶에 침착했다. 2019년 발간한 장편소설 《마르타의 일》은 지금 한국사회에서 치열한 싸움을 벌이...

동두천의 이집트 여성 난민, 모나[3]

[3·8 세계여성의날 특별기획⑤] 이집트 민주화를 위해 싸운 의료지원 활동가, 난민 인정 못 받는 한국

3인 가족인 모나가 사는 집은 보증금 300만 원에 월세 35만 원. 1년 전 모나가 인천에서 동두천으로 이사 올 당시 노원에 있는 난민 조직이...

문중원 열사 사망 100일, 노동사회장 치러져[2]

“우리의 일은 열사를 따르고 새 세상을 만드는 일”

고 문중원 기수 교섭이 합의된 가운데, 고 문중원 기수 사망 100일 만에 노동사회장이 치러졌다. 조문이 시작된 이날 오후 6시 서울대병원 장례...

고 문중원 기수 교섭 합의...사망 99일만에 장례치러

시민대책위, “‘마사회 적폐권력 해체를 위한 대책위원회’로 전환해 투쟁 이어나갈 것”

지난 6일 오후 8시 경 문중원열사대책위·시민대책위와 한국마사회 간 교섭이 합의에 이르렀다. 고 문중원 기수가 사망한지 99일, 정부서울청사 옆...

동두천, 여전히 배제된 여성들의 도시[1]

[3·8 세계여성의날 특별기획④] 배제된 여성들의 도시

소요산 주차장 인근에는 버려진 폐허 건물 하나가 숨어있다. 지도상에도 나오지 않는 곳. 굳이 찾으려 애쓰지 않는 한 눈에 띄지 않는 곳. 마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