쉴 공간 없는 노동자들의 증언대회

민주노총 “휴게실 설치 의무 주체, 원청 사업주임을 명확히 해야”

휴게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는 시행령 제정을 앞두고 현장 실태를 알리는 노동자들의 증언대회가 13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교육원에서 열렸다. 다양한 ...

기후위기, 세상을 멈추는 노동자

[녹색스트라이크]

‘멈춤’이 노동 현장에서는 지극히 능동적인 ‘투쟁’이 된다는 사실은 노동 운동과 기후 운동이 긴밀히 연결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멈춤은 신자...

10만 공공·운수·사회서비스 노동자, 11월까지 연속 총파업

공공운수노조 소속 학교, 의료, 콜센터, 철도, 화물 노동자 등 참가

오는 20일 민주노총 총파업을 앞두고,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는 “학교, 의료, 사회복지, 문화예술, 공공행정, 환경미화, 콜센터, 철도, 화...

[워커스 사전] 탄소중립[1]

[이슈⑥]

‘과거부터 배출된’ 탄소누적량까지 흡수해야 한다던 반성의 서사는, 지금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미래에 나올 기술로 상쇄시킨다는 시차모순적인 논리로 ...

독일 돌봄혁명과 부동산 사회화 운동

[위클리웨비나 25회] 발제 : 정은희(참세상연구소)

[편집자 주] 2021 참세상 WWW : 월드 위클리 웨비나(World Weekly Webinar)는 ‘코로나19’가 낳고 있고, 드러내고 있는...

‘기후정의 선언’에서 ‘기후 총파업’까지[1]

[이슈⑤]

내년은 대선과 지방선거 등을 통해 새로운 정치 권력이 탄생하는 중요한 해다. 이들이 기후정의에 입각한 정책을 내도록 하고, 이를 실현하는 것은 ...

간접·특수고용노동자도 총파업 참가…"노조법 2조 개정하라"

비정규직 당사자 “문 정부 들어 비정규직 더욱 증가하고, 차별도 심화돼”

10월 20일 총파업을 앞두고 간접고용노동자와 특수고용노동자들이 파업 참가를 선언했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 들어 오히려 비정규직이 증가하고, 차...

연구자 스스로 권리 찾기를 선언하다[1]

[기고] 교수연구자들의 ‘연구자 권리선언문’

연구자 권리선언은 지난 1월부터 여러 연구자 단체가 연속적인 토론회를 통해 초안에 대한 논의와 검토를 진행했다. 이러한 공감대 형성과 의견 수렴...

정의와 법, 혹은 법의 시간[1]

[사파시평]

흔한 법언은 ‘법은 사회의 최소한’이라고 가르치고 있지만, 아니다. 법은 단지 사회의 거울일 뿐이다. 우리가 정치적으로 정립하고 우리가 정치적으...

사회적 고용보장 제도와 가사노동 사회화 방안

[위클리웨비나 24회] 발제 : 홍석만(참세상연구소)

[편집자 주] 2021 참세상 WWW : 월드 위클리 웨비나(World Weekly Webinar)는 ‘코로나19’가 낳고 있고, 드러내고 있는...

화물연대 유통조합원들 "SPC파업은 전선, 공동투쟁 나설 것"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하림 등 화물연대 유통 사업장 공동투쟁 결의

화물연대의 1만 유통조합원이 SPC 화물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하며, 문제 해결이 늦어진다면 유통부문 전 사업장에서 공동투쟁에 나서겠다고 결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