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코오롱, 2005년 첫 정리해고 강행

노조, "노사합의 번복" 강력 반발, 78명 대상자 중 54명이 "노조 말살 음모"

“부실 계열사에 대한 지원으로 인한 적자를 노동자에게 일방적으로 떠넘기고 있다”는 노동계의 반발을 사 온 (주)코오롱이 이번에는 2005년 첫 정리해고를 추진하고 나서 노조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지난 달 1일 노조 측이 임금삭감을 제안하고, 회사가 인원정리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합의를 도출했던 (주)코오롱은 지난 달 17일 (주)코오롱 측이 생산직 78명에 대해 정리해고를 통보했다. 노동조합은 이를 노사합의 폐기로 간주하고 정면 대응을 선언하고 나선 상태다. 이에 노조가 합의 무효와 전면 투쟁을 선언하고 나선 것. 21일부터 해고자들을 중심으로 출근투쟁을 벌여온 50여명의 조합원들은 어제(2일) 2박 3일의 일정으로 상경해 과천 (주)코오롱 본사 면담 요구, 기자회견, 대 시민 선전전, 단병호 의원 면담 등을 진행하고 있다.

3일 오전 10시 민주노동당사에서 진행된 기자회견


노조는 (주)코오롱의 이번 정리해고 통보에 대해 “지난 해 64일간의 파업 후 더 이상의 정리해고는 없다는 합의를 했고, 지난 달 1일에도 강제적 구조조정이 아닌 희망퇴직을 통해 인원정리를 최소화기로 합의를 했는데도 두 번씩이나 노사 합의를 휴지조각으로 만들었다”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노조는 이번 정리해고가 “노조를 뿌리 채 뽑으려는 의도에서 진행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정리해고 대상자 78명 중 80%이상이 노조의 전현직 간부와 사수대 활동 등으로 노조에 동참했던 이들이다.

“두 번씩이나 휴직조각이 된 노사합의문”

지난 달 1일 고용안정특별위원회를 개최하고 15% 임금삭감을 전제로 91명의 생산직에 대한 희망퇴직에 합의했다. 노조가 먼저 임금 삭감을 제안해 이루어진 합의였다.

노사합의안은 '인원조정(축소) 규모는 비연봉제 사원(생산직) 509명으로 하며 인원조정 대상자에 대해서는 2월 1일부터 4일까지 기존과 동일한 조건의 조기퇴직우대제를 실시한다'로 명시되어 있으나, 합의 당시 (주)코오롱의 생산직 1,430명 중 418명이 이미 희망퇴직을 신청한 상황이어서 추가 희망퇴직 대상은 91명이었다.

문제는 합의안에서 희망퇴직 신청자가 필요 감원 인원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데 있다. 사측은 지난 달 17일 추가로 조기퇴직 신청을 받았으나 목표 인원에 미달했다는 이유로 78명에게 정리해고를 통보했다. 노조는 "정리해고를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서 임금 삭감에 동의한 것이므로 희망퇴직자수가 사측의 감원 계획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인적 구조조정이 마무리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쿠)코오롱 노조-지난 1월 21일 정리해고 분쇄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


더욱이 지난 해 8월 64일간의 파업을 마무리하며 노사간 “더 이상의 정리해고가 없다”는 합의가 이루어졌음에도 (주)코오롱은 지난 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총 5차에 걸친 조기퇴직을 강행했다. 노조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회사 측이 “정리해고냐, 하도급전환이냐”의 선택을 강요했고 그 결과 구미 공장 431명 퇴사자 중 410명이 하도급으로 같은 일자리에서 일하고 있다.

장철광 노조 위원장은 “대기업 노조로는 이례적으로 경제적 실리를 모두 포기하고 오직 더 이상 해고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믿고 64일 파업을 접었다.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지난해 12월부터 두 달을 끌어 만든 합의안마저 회사는 다시 번복하고 정리해고를 단행했다”며 분노하고 있다.

‘노동조합을 무력화시키려는 음모’, 78명중 54명 노조 적극 활동자"

노조를 더욱 분노케 하는 것은 이번 정리해고 대상자 중 대부분이 노조 활동에 노조 활동에 적극적인 사람들이라는 점.

78명 중 전직 노조 집행간부 21명을 포함해 대의원, 선관위원 및 회계감사를 포함한 현직 간부 20명이 포함돼 있다. 사수대 활동을 한 조합원 11명에 심지어 노래패 활동을 한 조합원도 끼어있다. 노조로서는 정리해고의 저의가 의심스러워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정리해고자 명단-대부분이 노조 활동에 동참해 온 이들이다.


해고 사유를 밝히라는 정리해고자들의 요구에 대해 회사 측은 “위에서 지시한 일이다” “우리는 모르는 일이다”로 일관하며 해고사유와 관련된 일체의 자료제출을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 노조의 주장이다.

노조는 “더 이상 물러설 수 곳이 없다는 각오로 민주노조의 깃발을 지킬 것”을 다짐하고 있다. 신태석 코오롱 정리해고 분쇄투쟁위원회 대표는 “현장에 복귀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지만, 노조를 재건하고 현장조직을 강화해 나가는 문제가 관건이다. 그것만이 현장에 돌아가도 버틸 수 있는 동력이 될 수밖에 없지 않나”고 강조했다.

상급단체인 전국민주화학섬유노동조합연맹 배강욱 위원장도 “아무리 상황이 어렵다 해도 이제는 연맹과 민주노총, 민주노동당과 함께 한마음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라고 (주)코오롱 노조 투쟁 지원 의사를 밝혔다.

(주)코오롱 노조 조합원 50여명은 내일 상경 일정을 마무리하고 지역으로 돌아가 투쟁을 계속한다. 이후 최소 격주 간으로는 과천 본사 등에 대한 상경 투쟁을 진행하고, 연맹과 민주노동당과 함께 회사를 압박해 들어갈 방침이다.
태그

(주)코오롱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최하은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