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쿠르드 지도자들이 석유 이윤 분배 방식에 대한 합의를 했다고 21일 영국<가디언>지가 보도했다.
<가디언>지는 “이라크 쿠르드 지도자들이 지난 밤 바그다드 중앙 정부와 이라크 석유 이윤을 나누는 법에 대해 합의했다”고 전했다.
석유법 합의는 '화해'의 척도
게이츠 장관 이라크 방문해 압력
특히 이번 합의는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이 이라크를 방문한 직후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을 끌고 있다.
로버트 게이츠 장관은 쿠르드와 시아파 등 이라크 내 세력 사이에 석유 이익 분배 방식에서 대해서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는 말라키 장관에게 압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이번 합의를 화해를 향한 진전의 척도(benchmark)로 보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쿠르드 지방정부 아쉬티 하우라미 자원부 장관은 “48시간의 ‘힘겨운 협상’끝에 지난 밤 문안을 완성”했으며, “투명한 ‘진정한 잉여 분배 협정’을 대표하며 이라크 인들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 국가를 하나로 모아줄 것”이라고 <가디언>에 기대를 표시했다.
그 동안 쿠르드 정부는 이라크 석유 이윤을 바그다드 중앙 정부가 집중적으로 통제해야 한다는 미국의 요구에 반대하며 새로운 석유법의 의회통과를 거부해왔다.
<가디언>은 “예를 들어 바그다드 중앙정부가 6개월까지 석유이윤을 가지고 있다가 쿠르트 자치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이라크의 수니파도 그들의 몫을 뺏길까 우려를 표해왔다”고 설명했다.
이라크 석유노조는 새 석유법 반대해
이번 합의로 지난 2월 이라크 내각이 승인한 석유법의 의회처리는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 부시 행정부가 바라는 대로 석유를 둘러싼 종족간의 ‘갈등’이 ‘화해’에 이르러, 새 석유법이 의회를 통과한다고 하더라도 상황이 만만하지는 않다.
지난 6월 4일 이라크석유노조(IFOU)는 석유의 공공성을 유지하라는 요구를 가지고 시한부 파업을 강행했다. 말리키 이라크 총리는 병력을 파업현지에 병력을 보내고 파업장을 둘러쌌으며, 지도부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하기도 했다.
이라크 석유노조는 현재 제출된 석유법이 “세계 3위의 석유자원에 대한 미국의 ‘헤게모니’를 강화시킬 것”이라며 석유법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