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사람
[흔적담기] 4개의 강좌
화창한 일요일, 4월의 봄날이었다. 이 강토, 이 산하를 지키기 위해 3년을 꼬박 바쳤지만, 그로부터 10여년이 흐른 지금도 나는 여전히 국토...
[흔적담기] 어느 무대인사
[인권캠페인] 에이즈 환자는 누군가의 ‘욕심’ 때문에 죽어간다
HIV/AIDS 감염인 - 편견과 차별을 넘어서
AIDS, ‘후천성 면역 결핍증’을 일으키는 병원체를 HIV라 하는데 이는 ‘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영어 머리글...
[특별기회] 인권운동매체, 어디까지 왔나?
창간 1주년 특별좌담
현재는 인권운동 전반을 아우르는 월간지는 전혀 없으며 많이 읽히는 매체도 없는 듯하다. 7, 80년대가 인권을 이야기하는 것만으로 잡혀가는 시절...
[특별기회] <사람>은 사람들의 심장과 머리를 쟁취하는 전쟁터
창간 1주년 특별기고
[특별기회] 동성애자 관리지침?, 너나 ‘관리’ 잘 하세요
군대야말로 관리·상담·교육의 대상
[특별기회] “군대에 가는 것도 가지 않는 것도 거대한 모험입니다”
병역거부자 유정민석의 ‘이반(異般)병의 편지’
[특별기회] 동성애자는 정신질환자이자 예비 범죄자?
저급한 인권의식을 들이대며 억압만 일삼는 군대
[人터뷰] 끝나지 않은 그의 투병기(鬪病記)
건강세상네트워크 강주성 대표
강주성 건강세상네트워크 대표는 다국적 제약회사들과의 싸움을 마다하지 않는다. 요즘은 한미FTA로 더 바빠졌다. 잊을만하면 발생하는 적십자사의 혈...
[人터뷰] 나이 서른에 그녀는 뭘 하고 있을까
KTX 파업 투쟁 현장에서 만난 한효미씨
[이슈] 집회·시위, 폭력시위 근절 vs 자유의 확대
폭력시위 근절 vs 자유의 확대
지난 6월 7일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는 참석자는 적지만 매우 의미 있는 토론회가 열렸다. ‘집회·시위 자유 확보를 위한 토론회’는 정부와 민...
[이슈] 경찰 폭력 이대로 두고는 집회·시위 자유 없다
폭력시위 근절 vs 자유의 확대
단지 농민 2명이 우발적으로 사망하였던 것이며, 이번 사건으로 경찰청장이 사임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허준영 전 경찰청장이 지난 3월 언론과의...
[이슈] 한미군사동맹의 갈림길, 평택 전쟁
5월 4일 이후 대추리를 가다
[인다방] 진짜 음악 공부
얼마 전의 일이다. 소위 내놓으라 하는 콩쿨에 입상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 영재 콘서트’에 초대되어 간 적이 있다. 물론 그 안에는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