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 17회 세계에이즈의 날인 12월 1일 ‘HIV/AIDS 인권모임 나누리+’(나누리+)는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HIV감염인/AIDS환자(감염인/환자) 인권 사망 선고’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은 추모사로 시작되었다.
처음으로 너의 영정 앞에서 너의 안부를 묻는 비통한 자리에서조차 살아있는 난 아직도 얼굴을 드러낼 수가 없어 이렇게 검은 천을 쓰고 너의 앞에 서는 걸 용서해다오...
...
너의 부모님이 장례식에도 오지 못하는 기구한 현실이 기가 막혀 통곡을 했었다...
...
언젠가 하늘나라 올라가 널 다시 만나게 되면 네 앞에 부끄럽지 않도록 열심히 우리의 인권과 권리를 위해 끝까지 싸워 나갈게. 지켜 봐 주렴....
![]() |
나누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364일 동안 감시하고 차별하면서 에이즈의 날 하루만 감염인/환자들의 삶을 행사로 치러내는 이 땅에서 감염인/환자들의 인권은 죽었음을 선고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회사에서는 병을 이유로 퇴사를 종용 당하고, 병원에서는 진료를 거부하고, 죽어서조차 염을 거부당한다”며 감염인/환자들에게 가해지고 있는 사회적 차별을 지적했다.
이어 나누리+는 에이즈에 대한 사회적 공포에 대해 “감염인/환자들에 대한 차별과 외면은 에이즈라는 병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다”며 “에이즈는 그 원인과 전파 경로가 이미 다 알려진 ‘관리 가능한’ 질병”이라고 전했다.
나누리+는 또 “정부가 감염인/환자들을 건겅권, 노동권, 사생활권, 출산 등의 권리로부터 배제시키고 동성애자, 성매매 여성 등을 고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잠재적인 가해자로 취급하고 있다”며 “감염인들을 사라져야 할 존재로 취급하고, 이들의 죽음조차 숨길 수밖에 없는 현실에 대한 책임이 명백히 한국정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 |
이날 국가인권위원회 앞에는 영정이 차려졌다. 한편으로는 병마와 다른 한편으로는 세상과 싸우다 떠난 이들의 영정이었다. HIV 감염인과 AIDS 환자들, 그들은 죽어서도 얼굴을 드러내지 못했다. 영정 사진에서 조차 얼굴을 드러낼 수 없는 그들을 진정으로 죽인 것은 질병이 아닌 한국 사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