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라에서 날아온 칼리마 먼지는 단순한 대기 오염이 아니라 태양광을 흡수해 수소를 생성할 수 있는 자연산 광촉매를 포함한 광물 혼합물로 밝혀졌다. 스페인 연구진은 이 먼지가 상업용 이산화티타늄보다 250배 높은 수소 생산량을 보여줄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했고, 반복 사용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함을 입증했다. 이 연구는 미활용 자원을 재발견하고, 단순하면서도 지속가능한 태양에너지 기반 기술 개발로 나아가는 길을 제시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구는 과거보다 두 배 이상 빠르게 열을 가두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의 기후모델이 예측하지 못한 현상이다. 구름 반사율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에너지 불균형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폭염, 해양 열파, 강수량 극단화를 포함한 기후 재난의 강도와 빈도를 높일 수 있다. 연구진은 이런 경향이 지속될 경우 고감도 시나리오에 가까운 미래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며, 이를 정확히 추적할 수 있는 위성 관측 시스템에 대한 투자와 유지가 절실하다고 경고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남극 연구는 2021년 이후 감소세에 접어들었고, 미국을 제치고 중국이 연구 선도국으로 부상했다. 이 같은 추세는 기후 위기와 해수면 상승이 심화되는 가운데 과학적 기반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는다. 저자들은 연구 축소와 협력 약화를 경고하며, 특히 조약 체제 내 의사결정에서 과학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시점에 각국의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새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산불, 홍수 등 극한 기후를 경험하더라도 그 자체만으로는 기후 행동에 대한 지지를 높이지 못한다. 그러나 해당 재해가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인식할 때, 기후 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는 언론과 공공 커뮤니케이션이 기후 변화와 재난 간의 연관성을 더 명확히 설명해야 대중의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물 위에 설치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인 ‘플로토볼타익’이 기후 위기 대응의 유망 기술로 부상하면서, 그 생태학적 영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조류와 수생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려는 연구자들은 이 기술이 조류의 서식지를 위협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은신처나 먹이터를 제공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과학자들은 기업과 협력해 패널 설치 시 생태계 보호와 재생 가능 에너지 생산을 균형 있게 병행할 수 있는 설계를 개발해나가고 있다.
유네스코는 세계적으로 소멸 위기에 처한 원주민 언어와 기후 지식을 보호하기 위해 캐나다 니스가족(Nisg̱a’a Nation)의 에이미 페어런트와 인도 오라온 부족의 소나즈하리아 민즈를 새로운 공동 의장으로 임명했다. 이들은 언어와 땅, 기후 지식이 연결된 전통 지식을 되살리고, 여성 중심의 권위를 회복하는 ‘재어머니화(rematriation)’ 개념을 통해 식민주의에 훼손된 공동체 질서를 회복하려 한다. 원주민 언어에 담긴 계절, 생태, 법, 책임의 체계는 단지 의사소통 수단이 아니라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세대 간 과학이자 삶의 지침으로, 이 지식을 회복하고 확대하는 것이 지구의 미래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미국과 세계 곳곳의 전력망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다 수용하지 못해 상당량이 낭비되고 있으며, 솔루나(Soluna) 같은 데이터센터 업체는 이런 ‘유휴 전력’을 저렴하게 활용하고 있다. 솔루나는 재생에너지 발전소 인근에 데이터센터를 공동 설치해 잉여 전력을 직접 구매하거나, 전력망에 부담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전기를 소비하는 ‘유연한 수요처’로 기능한다. 이런 모델은 전력망 안정화에 기여하고, 고성능 연산을 위한 전력 확보 문제를 해소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알래스카 페어뱅크스 지역이 사상 처음으로 폭염주의보를 발령하며, 기온이 화씨 87도(섭씨 약 30도)에 육박하는 기록적인 더위에 직면했다. 전통적으로 혹한에 대비해 설계된 주택들은 단열재로 인해 내부 열 축적이 심해져 주민들은 열사병 등 건강 위협에 노출되고 있다. 기상 인력 감축과 기후 변화로 인한 산불 위험 증가까지 겹치며, 알래스카는 더 이상 '추운 땅'만은 아니게 되었다.
미국의 원자력 에너지 확대 계획에 따라 캐나다 기업 팬서 미네랄스(Panther Minerals)가 알래스카 서부 시워드반도의 엘림(Elim) 인근에서 대규모 우라늄 탐사를 추진하면서, 주민들은 식수와 식량을 의존하는 투부툴릭강(Tubutulik River)이 오염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 지역은 전통적인 이누피아크(Iñupiaq)와 유픽(Yup’ik) 공동체의 생계와 문화 중심지로, 지역 원주민 학생들과 공동체는 “광산보다 강이 더 중요하다”며 탐사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팬서 측은 환경영향이 적은 방식이라 주장하지만, 마을은 이 강이 단순한 식량원이 아니라 공동체의 정체성과 직결된 존재이기에 끝까지 지킬 뜻을 밝혔다.
2025년 UN 해양 회의에서 세계 각국은 해양 생물다양성과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2030년까지 전 세계 바다의 30%를 보호하겠다는 '30×30' 목표를 재확인하고, 수백만㎢에 이르는 해양보호구역(MPA)을 지정하기로 했다. 사모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솔로몬제도, 바누아투 등은 대규모 보호구역을 약속했고, 콜롬비아, 탄자니아 등도 다양한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한 조처에 나섰다. 회의에서는 보호구역의 실제 실행과 관리, 158억 달러에 달하는 연간 재정 확보가 과제로 지적되었으며, CMAR(동태평양 해양회랑)처럼 초국경 협력을 통해 장기적인 해양 보전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긍정적 사례도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