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양당 후보단일화 '산 넘어 산'

시간은 없고 이견은 크고...중앙당 20일 2차 실무협의

시간은 없는데...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이 20일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 렉싱턴 호텔에서 울산 북구 후보단일화를 위한 실무협의를 연다. 이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된다.

민주노동당은 당내 후보 경선 문제로 진보신당과 실무협의 일정을 미뤄왔다. 그러나 민주노동당은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사실상 오는 25일까지로 후보단일화 시한을 못 박으면서 긴급히 실무회의를 제안했다. 24일이나 돼야 최종적으로 당 내 후보를 확정하는 민주노동당 상황에서 사실상 후보가 확정된 진보신당에 비해 민주노총이 제안한 후보단일화 마지노선까지 시간상 압박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김창현 민주노동당 예비후보는 19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그은 후보단일화 시한을 언급하며 “(그 때까지 후보단일화를 못하면) 단일화 안 되는 것 아니냐는 절박함이 있다. 시간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민주노동당이 당내 후보단일화를 이루기 전이라도 조승수 진보신당 예비후보와의 만남을 통해 후보단일화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자는 제안이었다.

조승수 진보신당 예비후보는 같은 날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이 당내 경선의 필요로 상대당의 후보를 이용하는 모양새는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진보신당 쪽에서는 김창현 후보가 당 내 경선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 여론전을 하고 있다고 해석한 것.

김창현 후보는 참세상과 전화통화에서 “후보단일화는 (진보 진영의) 명운이 걸린 문제라 조건 없이 만나서 얘기하자는 제안을 한 것인데 달은 안보고 왜 손가락 끝만 보고 있냐”고 반박했다.

김창현 후보가 긴급히 조승수 후보와 직접 회동이라는 방식을 제안한 데는 중앙당 차원에서 진행하는 실무협의에 대한 불만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김창현 후보는 중앙당 간 실무협의에 대해 “안 만나는 것보다 낫지만 지금 시기는 좋은 말만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울산 북구 관계자들이 직접 참여하지 않은 실무협의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의견 차이는 여전하고

실제 중앙당 차원의 실무협의에서 후보단일화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까지 제출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후보단일화 방식에 대한 양 당의 의견 차가 여전하기 때문.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노동자를 중심으로 세우는 선거 전략은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사항”이라며 민주노총 조합원 총투표를 중심으로 하는 민중경선제로 입장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김종철 진보신당 대변인은 참세상과 전화통화에서 “진보신당의 경우 민주노총 정치방침에 막혀 제대로 정치활동을 해오지 못한 상황”이라며 민주노총의 의견을 중심으로 하는 후보단일화에 대해 반대했다. 김종철 대변인은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 민주노총 조합원 뿐 아니라 비정규직 노동자들,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여론조사로 가야한다”고 덧붙였다.

우위영 대변인은 여론조사 방식에 대해 “북구 주민 여론조사 방식만이 울산 시민의 눈높이에 맞추는 것이라는 주장에 쉽게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에서 전격 합의를 이뤄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울산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한 민주노총 울산본부 차원의 총투표가 울산 북구 주민들의 의견과 다를 수 있다는 진보신당의 제기에 대해 우위영 대변인은 “동의한다”면서 “민주노총 울산본부를 설득해서 울산 북구로만 한정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비정규직 등에 대한 참여 여부도 우위영 대변인은 “총투표 대상에 비정규직을 광범위하게 참여시켜서 진행하면 된다”라고 밝혔다.

김종철 대변인은 논평에서 "민중참여경선제를 절대화해서는 안 된다"면서도 "진보신당에 대해 여론조사 방식에 의한 단일화를 절대시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는데 동의하며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고심 중"이라고 밝혔다. 조승수 후보는 참세상과 전화통화를 통해 “의견이 좁혀지고 있다고 본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태그

민주노동당 , 재보선 , 후보단일화 , 진보신당 , 울산 북구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이꽃맘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참새

    1.실무협의안이 나와야 한다.
    민주노동당 최고위 재보궐 선거방침안으로써 울산지역의 후보단일화 방침,진보신당 역시 선거방침안으로써 울산지역의 후보단일화론에 의하여 협의과정에서 안(安)이 정식화 되어서 양당의 민주적 동의와 시민사회단체의 범시민후보로 추대되고 조직될수 있어야 한다.

    만일 양당의 후보들이 독자적으로 출마하여 유세과정의 여론조사로 서로의 우위를 주장한다면 이것은 이명박정권의 심판과 한나라당의 반민생 국회운영에 대한 평가는 물건너 가는 것이라고 본다.

    노동단위의 노동자 중심성은 지역적 특징이 있으며 다른 지역처럼 시민사회의 영역의 이해로 노동자 중심성을 세우는 것과 분명 지역의 특징이 다른 것이다.

    물론 울산의 지역 도시 재개발의 형태가 변화 되었고 주거민의 구성의 의식실태가 보수적 경향성이라 하더라도 이것은 선거참여의 형태와 투표형태등 지역조사의 전반적인 문제로써 노동자들의 자신들의 사회적 처지가 타율적으로 작용하는 원인을 제대로 분석대응 해야할 것이다.

    2.지역주민과 밀착하는 재보궐 선거투쟁은 지금도 선대본의 형식과 관계없이 일상적 진행과정이어야 한다.이 결과가 4월 29일 결과가 될 것이다.

  • 시민

    일반 민주주의만도 못한 패권주의. 인류 역사에 피와 땀의 소중한 역사성을 지닌 그 이름. 노동자.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 피땀으로 이루어 왔던 민주주의의 열매는 노동자, 농민, 기층 민중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보수주의자들은 말이라도 온 국민을 위한다는데, 피를 먹고 자란 민주주의의 나무를 소중하게 키워온 우리 선진 노동자님들은 도대체 제정신인가요? 지금 국민들이 소위 민주노조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는지. 민주노조가 고단한 국민들의 삶에 희망을 줄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있는지요?
    노동자가 역사의 주체로 우뚝설 수 있었던 것은 폭정의 칼바람속에서도 합리적이고 조직적인 힘을 모범적으로 실천함으로써 가능했던 것입니다. 노동자가 많다고 민중경선제를 한다는데 일반 민주주의의 상식에서조차 벗어난 발상이 아닌지요? 선거는 노동자들만의 선거인지요? 소위 진보적이라고 하는 분들이 합리적인 사고가 없는 패권주의 집단으로 비춰지고 있는 한, 그만큼 진보를 염원하는 대다수의 대한민국 백성들의 삶은 터덕이고 질곡을 거듭할 것입니다. 명심하세요.

  • 별것아니지만

    당이 되면 만나는 장소가 호텔로 되는 이유가 뭔가요? 진보신당회의실도 휼륭하고, 민노당 회의실도 좋던데... 널린게 회의실인데... 별것도 아니지만 좀 씁쓸해서요. 서민정치한다면서 한끼 걱정하는 노동자민중들이 얼마나 많으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