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0일 오전 청와대에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21일로 예정된 남북 당국자간 접촉 문제 및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전면참여 대책을 협의했다. <연합뉴스>는 이 회의가 일정에 없었으나 내일 남북 당국자가 접촉을 앞두고 이 대통령이 이 회의를 소집했다고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장관님께서 중요한 회의에 참석했다. 이번 접촉과 관련해서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관계장관회의에 참석했다고 문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이 확인했다.
北, "중대문제 통지할 것 있다"
21일 남북간 첫 접촉은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이 개성공단 사업과 관련해 남북한 접촉을 가질 것을 제의한 것을 정부가 수용해 진행된다.
그러나 <연합뉴스>는 북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이 남측 개성공단관리위원회에서 보낸 통지문이 16일자로 "'중대문제를 통지할 것이 있으니 관리위원장은 개성공단과 관련한 책임있는 정부 당국자와 함께 21일 개성공단으로 오라'고 통보했다"고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김호년 대변인은 20일 브리핑에서 '통보'와'중대문제'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해 주지 않았다.
김호년 대변인은 "(북측의) 통지문은 '개성공단사업과 관련하여 남북접촉을 갖자', 이렇게 이해해주시면 된다"며 "개성공단 문제와 관련한 북측의 입장과 우리의 입장이 상호 전달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개성공단에 현대아산 직원 유 모씨가 20일로 22일째를 맞고 있고, 정부의 대량파괴무기(WMD) 확산방지(PSI) 구상 발표를 앞두고 있어서 이번 남북 첫 접촉이 가지는 의미는 무겁다. 일각에서는 개성공단이냐, PSI냐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청와대, PSI 발표시기를 21일 이후로 미뤄
PSI를 둘러싼 남북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19일 예정됐던 PSI 전면 참여 발표도 미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8일 관계장관회의에서 애초 19일로 예정됐던 PSI 전면참여 발표시기를 21일 남북 당국간 접촉 이후로 미루기로 결정하면서 "(PSI와 관련해서) 원칙을 확고하게 지키되 상황에 대처할 때는 종합적이고 전략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PSI 참여 주무부처인 외교통상부의 문대영 대변인은 20일 브리핑에서 현재 시점에서 PSI 관련 계획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정부에 맡겨 달라"는 말로 답을 대신했다.
통일부는 "(PSI) 전면참여가 자꾸 연기되면서 언론에서는 통일부와 외교통상부간의 마찰에 갈등이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는 질문에 "그것은 제가 답변할 위치에 있지않다. 모든 문제에 관해서 유관부처들이 긴밀하게 협조를 하고 또 조정을 해서 발표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18일 북한은 군총참모부 대변인 문답에서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에 대한 《전면참여》 등을 통하여 가하려는 그 어떤 압력도 그것은 곧 우리에 대한 로골적인 대결포고, 선전포고로 된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또 "서울이 군사분계선으로부터 불과 50km 안팎에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국자들은 21일 오전 8시 경 정부 청사를 출발해 9시 경 출입사무소를 통과한다. 김영탁 개성공단사업지원단장, 문무흥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위원장 등 7명 가량의 남측 대표단이 참가한다.
정부는 북측에 남측 참석자들의 명단을 1차로 통보했다. 김호년 대변인은 "정부는 남북접촉에 나올 북측인사들의 명단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로 알고 있다"며 "다만 그 통지문에 적시된 사항과 관련된 인사라고 추정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