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연맹 각 지역본부, 대지자체 교섭 투쟁 활발

지자체 당선자들 일방적으로 약속 파기하기도

공공연맹이 대정부 협약안과 대자자체 협약안 체결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직접교섭을 촉구하며 ‘7월 총파업’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공공연맹 각 지역본부는 지자체의 직접교섭을 촉구하며 지자체장 당선자들과 면담을 진행하는 등 활발한 투쟁을 진행하고 있다.

대화에 나선 곳은 인천시와 전라북도 정도

공공연맹에 따르면 어느 정도 대화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인천시와 전라북도 정도이다.

인천시의 경우 안상수 인천시장 당선자는 후보자 시절 공공연맹 인천지역본부와 대화를 약속한 바 있으나 당선 이후 공공연맹 인천지역본부와의 약속을 파기해 갈등이 예상된 바 있다. 그러나 다시 안상수 인천시장이 대화에 나서기로 해 27일, 인천시장실에서 면담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인천지역본부는 비정규센터 설치와 향후 교섭계획 및 교섭창구에 대한 확답을 받아낼 계획이다.

전라북도의 경우 지난 22일 전라북도청과 공공연맹 전북지역본부가 실무접촉을 통해 공공협약과 교섭틀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상당한 의견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 졌다. 공공연맹에 따르면 공공협약을 진행시키기 위한 기본협약을 김완주 전북도지사 당선자와 체결하는 것도 논의된 상태이다. 그러나 문제는 얼마나 성실히 임할 것인가이다. 전북지역본부는 공공협약을 전라북도 노동자, 서민 등 도민 전체를 위한 협약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대화하자고 해놓고 협의틀 제안하니 나몰라라

인천과 전라북도를 제외한 지역에는 신임 당선자가 약속을 일방적으로 깨거나 이유 없이 대화를 거부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대전시에 경우 지난 22일에 박성효 대전시장 당선자가 공공연맹 대전충남지역본부와의 면담을 진행하기로 약속했으나 박성효 대전시장이 일방적으로 약속을 파기해 면담은 이뤄지지 못했다.

서울시의 경우 지난 21일 서울시 측이 공공연맹 서울지역본부가 내세운 지자체 협약안에 대한 의견을 듣겠다며 실무협의를 제안해 공공연맹 서울본부는 협약안 체결을 위한 정기 협의틀 구축 등을 제안했으나 이를 거부했다. 이에 대해 공공연맹은 “협약안을 듣겠다고 제안해 놓고 협의틀 구축은 고민조차 하지 않고 거부한 서울시의 행태는 그저 형식적으로 자리를 마련한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비판했다.

또한 공공연맹 각 지역본부는 부산, 울산, 광주, 전남 등의 광역단체장에게도 지자체협약을 위한 교섭을 요청했으나 아무런 답변이 없는 상황이다. 공공연맹 각 지역본부는 더욱 적극적으로 지자체를 대상으로 투쟁을 만들어 갈 계획이다.

"국무총리가 나서라“

한편, 공공연맹은 정부의 직접교섭을 촉구하며 26일부터 청와대 앞, 정부종합청사 앞, 기획예산처 앞에서 1인시위에 돌입하기도 했다. 공공연맹은 27일 성명을 통해 “정부는 양극화 해소에 나서겠다고 입버릇처럼 이야기하고 있다. 이 말이 빈말이 아니기 위해서는 자신이 책임있는 공공부문에서부터 문제해결에 나서야 한다”며 “국무총리실은 현실을 바로 보고 즉각 노정교섭에 응해야 한다”고 대정부 직접교섭 성사를 촉구했다. 공공연맹은 몇 차례 국무총리실에 면담을 요구했지만 국무총리실에서는 묵묵부답인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