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윈튼의 신작 소설 주스는 기후 변화로 황폐해진 서호주를 배경으로 인간성과 연대를 탐구하며, 화석 연료 자본주의가 초래한 환경 파괴를 강력히 비판한다. 윈튼은 서호주의 독특한 풍경과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며, 기후 위기가 초래할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그리는 동시에 연대를 통한 희망과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소설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 연결성을 강조하며, 기후 위기에 맞서 화석 연료 엘리트의 권력을 약화시키는 행동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의 붕괴로 시리아는 권위주의적 이슬람주의 HTS와 다원주의적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다네스(DAANES)로 분열될 가능성이 커졌다. 튀르키예는 시리아 북부에서 쿠르드족을 겨냥한 공격과 민족적 인구 재구성을 강화하며 지배력을 확대하려 하고 있다. HTS와 DAANES 간의 갈등 완화 조짐에도 불구하고 쿠르드족과 소수자에 대한 폭력은 진정한 민주적 미래에 대한 희망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
기후 금융은 기후 변화와 생물다양성 손실이 자산 가격과 경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금융 시장은 기후 리스크 완화와 적응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후 리스크는 부동산, 주식, 채권 등 자산 가격에 이미 반영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를 관리하기 위해 헤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기후 뉴스에 대응하는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생물다양성 손실은 경제적 성장과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른 자산 노출 및 리스크를 평가하고 보전 노력을 우선시하기 위한 연구와 투자 접근법이 발전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 대한 무기한 군사 통치를 추진하며, 연간 최대 300억 셰켈(약 84억 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이와 동시에 미국 민간 보안 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가자지구 북부의 민사 행정을 대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는 연간 수십억 셰켈 규모의 계약으로 예상된다. 네타냐후 총리가 가자지구 점령 계획을 부인했음에도 일부 이스라엘 정치인들은 인구 축소와 재정착을 주장해 국제적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튀르키예 정부는 인권 변호사이자 튀르키예노동자당(TİP) 의원으로 선출된 칸 아탈레이를 부당하게 수감하며, 그의 선출직 면책특권을 무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야당이 장악한 7개 지자체에 수탁자를 임명하고 주로 쿠르드족이 많은 지역에서 정치적 자유를 제한하는 등 선출직 공무원에 대한 탄압도 이어지고 있다. 한편, 영국 정부가 튀르키예의 권위주의적 수사를 모방하며 커뮤니티 센터 급습 등으로 정치적 억압을 강화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니콜 파시니안 아르메니아 총리는 구소련 국가들 간의 군사 및 안보 협력을 위한 지역적 국제기구 CSTO(집단안보조약기구)의 비효율성과 러시아의 소극적 대응을 비판하며 아르메니아가 사실상 CSTO 외부에 있다고 선언했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아르메니아의 복귀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파시니안은 CSTO가 아르메니아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주장하며 복귀 의사를 일축했다. 소셜 미디어와 정치 분석가들은 CSTO 탈퇴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외교적, 경제적 위험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무너진 정부를 재구성하기 위해 신민전선(NFP)과 협력하며 장관직을 제안했지만, 좌파 정당 내부에서는 분열과 정치적 파산이 드러났다. 신민전선 일부 정당은 마크롱과의 협력을 통해 긴축 정책을 수용하며 기존 선거 공약을 폐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마린 르펜의 신파시스트 국민연합(RN)은 이 기회를 이용해 마크롱과 NFP를 강하게 비판하며 차기 대선을 준비하고 있다.
유럽연합(EU)과 남미 무역 블록 메르코수르가 12월 6일, 세계 최대 자유무역 지대를 창출하는 획기적인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EU 기업의 수출 관세를 연간 약 40억 유로 절감하고, 삼림 벌채 중단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포함한 환경 약속도 담고 있다. 프랑스를 비롯한 일부 EU 회원국이 농업 부문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며 반대하고 있어, 최종 승인 과정에서 상당한 정치적 도전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