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와 민주당 모두 과두 정치인들의 이해관계에 종속되어 있으며, 금융 자본주의는 이들을 더욱 부유하게 만드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의 월스트리트 구제 정책은 도시와 지역 간 경제적 격차를 확대했고, 이는 트럼프의 재선을 가능하게 한 주요 원인이 되었다. 서구 경제의 균형을 되찾고 민주적 통제를 회복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금융 자본주의를 종식시키고, 월스트리트를 공공 은행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유럽의 중도 정당들은 좌파를 ‘급진적 위협’으로 묘사하며, 사회민주주의조차 극우보다 더 배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등에서 좌파를 권력에서 배제하기 위해 중도우파와 극우가 협력하며, 이는 노동조합, NGO, 시민 사회까지 위축시키고 있다. 유럽 전반에서 극우의 정상화와 좌파 봉쇄 전략이 결합되며 반대 의견 억압이 강화되고, 사회적 저항 세력이 위기에 처하고 있다.
글로벌 사우스의 NGO들이 서방 기부자에 지나치게 의존하면서 자립적인 시민사회의 성장이 저해되고 있다. NGO들은 종종 정치적 행위자로 배치되어 해외 기부자의 의제를 따르며, 이는 수원국의 주권과 민주주의를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 외국 자금 없이 NGO들이 지역 기반을 강화하고 시민들의 지지를 얻는 방식으로 변화해야 지속가능한 시민사회가 가능할 것이다.
영국 노동계급 유권자들은 점점 노동당에서 멀어지고 있으며, 이는 정책 실패와 신자유주의적 전환의 결과다. 경제 불평등, 탈산업화, 사회적 이동성의 붕괴가 노동계급의 삶을 악화시켰지만, 노동당은 이를 해결하기보다 재정적 정통성을 유지하는 데 집중했다. 좌파가 노동자들을 되찾기 위해서는 물질적 삶의 조건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급진적 개혁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강경 우파가 그 빈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마크 저커버그는 기업 세계가 '중성화'되고 있다며, 더 많은 '남성적 에너지'와 공격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발언은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남성성이 힘과 지배를 통해 유지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반영하며, 특히 여성과 소외된 집단을 배제하는 문화적 신호를 보낸다. 그러나 경직된 남성성은 남성과 사회 전체에도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저커버그 스스로도 육아휴직을 사용한 바 있어 그의 발언은 모순적일 수 있다.
유럽연합(EU)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안보 위기에 직면했지만, 단결된 대응과 방위 전략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트럼프의 재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미국의 지원이 불확실해졌으며, 유럽 내 포퓰리스트 지도자들이 친러시아 성향을 강화하고 있다. EU가 현실적인 안보 전략을 수립하지 않는 한 우크라이나의 승리와 유럽의 장기적인 평화 전망은 점점 더 어두워지고 있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가 87%의 득표율로 7선에 성공했으나, 반대파는 투옥되거나 추방되었고, 서방은 이를 가짜 선거로 규정했다. 주요 야당 인사 스비아틀라나 치카누스카야는 망명 중이며, 세르게이 치카누스키, 빅타르 바바리카, 마리아 콜레스니코바 등 반체제 인사들은 장기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루카셴코는 일부 정치범을 석방하며 서방과의 관계 회복을 시도하고 있지만, 여전히 푸틴과의 긴밀한 관계 및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 지원으로 인해 서방과의 협력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가자지구를 미국이 점령하고 팔레스타인 주민을 철수시켜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 이스라엘 우파는 환영했지만, 이집트,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아랍 국가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트럼프의 발언은 중동에서 미국의 입지를 흔들고,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축산업에 대한 논쟁은 동물 복지, 환경 영향, 도시와 농촌 간의 이해관계, 소비자의 권리 등 다양한 사회적 표상을 반영한다. 과학자들은 축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개선하고 동물 복지 및 환경 보호를 위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지만, 대중과 산업 간의 신뢰 문제와 정보 부족 모델을 극복해야 한다. 과학적 연구와 공공 소통을 통해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속 가능한 축산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해결책으로 제시된다.
중국 AI 기업 DeepSeek이 출시한 R1 모델이 OpenAI의 ChatGPT를 '부적절하게' 복사했다고 주장하면서 OpenAI는 법적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DeepSeek은 더 저렴한 비용으로 경쟁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구현했지만, OpenAI는 이 과정에서 ChatGPT의 결과물을 무단으로 활용한 증류 기법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OpenAI 역시 저작권 침해 논란 속에서 법적 소송에 직면해 있어, AI 기술의 저작권 및 데이터 사용에 대한 법적 논쟁이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