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의 공공부문 노조는 열악한 임금과 노동 조건 개선을 위해 투쟁하고 있지만, 정부와 우파 싱크탱크는 이들을 게으르고 과도한 혜택을 누리는 집단으로 묘사하며 여론을 왜곡하고 있다. 특히 프레이저 연구소는 공공부문 노동자의 복지를 공격하며 민간 부문과 갈등을 조장하고, 연방 정부는 반복적으로 파업을 강제 중단시켜왔다. 그러나 사실 공공부문 임금 상승률은 물가와 평균 임금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노동자들이 생계를 위해 부업에 의존하고 있다. 이런 반노동 선전은 노동자 간 분열을 유도하고 전체 노동계의 힘을 약화시키려는 시도다.
홍콩과 미얀마의 노동운동은 코로나19 시기 강경 권위주의에 맞서 민주주의를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미얀마에서는 군부 쿠데타 이후 노동자들이 즉각 총파업에 돌입하며 저항의 선봉에 섰고, 홍콩에서는 2019년 대규모 파업을 계기로 노동조합의 정치적 존재감이 강화되었다. 비록 두 지역 모두 탄압 속에 노동운동이 위축되었으나, 이들의 저항은 노동자 계급이 민주주의 수호의 핵심 주체임을 보여준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카리브해 군사 배치, 멕시코에 대한 경제·군사 압박, 브라질 제품에 대한 50% 관세, 베네수엘라에 대한 군사 위협 등 라틴아메리카 전역에 걸쳐 제국주의적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멕시코는 이민과 마약 문제로 협박을 받고 있으며, 브라질은 반(反)볼소나루 사법 판단에 대한 보복으로 압박받았으나, 대중 시위로 친미 법안이 저지되었다. 베네수엘라는 정권 교체를 통한 지배 재편의 핵심 목표로, 군사개입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은 이 지역 전체를 자신의 영향권으로 유지하려는 신식민주의 전략을 펼치고 있다.
세르비아의 풀뿌리 시민단체 연합체 ‘세르비아의 자유조직(SOS)’은 2024년 대형 사고와 이에 따른 전국적 시위를 계기로 결성되어, 분권적 저항을 체계적인 정치 변화로 연결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전국 30여 개 지역 조직이 참여하는 이 수평적 네트워크는 부패 척결, 지방 권력 교체, 선거 감시 등 지역 기반의 민주주의 회복을 목표로 하며, 학생운동과의 협력을 통해 전국적 선거 인프라로도 기능하고 있다. 기존 야당과는 선을 긋고 직접 민주주의 원칙을 고수하는 이들은 정권 탄압과 언론 탄압 속에서도 지역 중심의 지속적 압박과 제도적 대안 마련을 통해 비당파적 정권 교체를 도모하고 있다.
2025년 10월, 40여 척의 민간선박과 500여 명의 국제 활동가들이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봉쇄를 뚫고 인도적 지원을 전달하려던 ‘글로벌 수무드 선단’이 국제 해상에서 이스라엘 해군에 의해 강제 차단되고 승선자들이 구금되면서 국제적인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 선단에는 각국 국회의원과 활동가, 변호사, 유명 인사들이 포함됐으며, 그중에는 스웨덴의 기후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도 있었다. 이스라엘의 무력 개입은 국제법 위반으로 비판받고 있으며, 콜롬비아·말레이시아·튀르키예 등 여러 국가가 외교 조치를 단행하고, 유럽 각지에서는 대규모 항의 시위와 총파업이 벌어지고 있다. 반면 유럽연합 지도부는 침묵하거나 미온적인 대응으로 일관해 시민사회와 일부 정당의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푸틴의 전쟁에 맞선 목소리들』은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기소·구금된 러시아 시민들의 법정 연설 10편을 중심으로, 이들이 왜 침묵을 거부하고 연설로 저항했는지를 조명한다. 이들은 평화적 시위부터 군수열차 파괴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반전 의지를 드러냈고, 감옥에서도 양심과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이 책은 러시아 내 반전 운동의 용기와 정치적 다양성, 그리고 폭력적 국가권력에 맞선 양심의 실천을 기록하며, 세계적 억압과 전쟁이 격화되는 현실 속에서 저항의 의미를 되묻는다.
팔레스타인 시민사회는 트럼프와 네타냐후가 추진한 가자 지구 평화안에 대해 “불법적이고 식민적이며 제노사이드적인 계획”이라 규정하며 전면적인 국제적 저항을 촉구했다. 이들은 팔레스타인 민중의 권리는 협상의 대상이 아니며, 국제법과 ICJ의 판단에 따라 이스라엘의 점령과 아파르트헤이트 체제를 해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 세계 시민과 운동 세력에 대해 BDS(보이콧·투자철회·제재) 운동을 더욱 확대하고, 무기 거래 중단, 기업 불매, 정치적 제재 등 구체적 행동을 통해 이스라엘의 국제적 고립을 강화할 것을 요구했다.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한 이 투쟁은 지금 인류의 도덕성을 시험하는 전선임을 천명했다.
2025년 녹색당 전국당대회는 새로운 리더 잭 폴란스키(Zack Polanski)의 대중적 인기와 급증한 당원 수를 바탕으로, 녹색당이 좌파 정치의 중심 세력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공동 부대표 모신 알리(Mothin Ali)는 기존 노동당 좌파 인사인 제러미 코빈(Jeremy Corbyn)과 자라 술타나(Zarah Sultana)가 창당한 ‘Your Party’에 대해 존중을 표하면서도, 진정한 대안은 녹색당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NHS 보호, 생활비 절감, 팔레스타인 연대 등 급진적 경제·외교 정책이 전면에 나섰고, 당내 다양성과 젊은층의 참여 또한 눈에 띄게 증가했다. 녹색당은 반제국주의, 반가자 학살, 좌파 연대라는 기치를 내걸며 영국 정치를 재편하려 하고 있다.
파키스탄 점령 카슈미르(PoK)에서는 정치인 특권 철폐와 기본권 보장을 요구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수일째 이어지며 최소 9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다. 무자파라바드 시에서는 수천 명이 거리를 점령했고, 정부는 인터넷을 차단하고 언론 보도를 통제하며 대응에 나섰다. 시민단체 ‘Awami Action Committee’가 주도한 이번 시위는 전력 요금 인하와 의료 인프라 확충 등 지역적 요구를 담고 있으며, 시민들은 군의 실질적 통치와 표현의 자유 억압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가자 지지 플로틸라(Flotilla) 운동은 이스라엘의 봉쇄에 맞서 세계 시민들이 연대하는 상징적 저항으로, 최근 ‘수무드(Sumud) 플로틸라’의 출항은 국제주의의 부활을 상징한다. 이 운동은 이스라엘의 무력 대응과 국제법 위반을 드러내는 동시에, 전 세계 시민사회와 노동자 계층의 집단적 저항을 촉발하며, 과거 반아파르트헤이트 및 반제국주의 투쟁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특히 남반구 국가들과 세계 각지의 대중운동은 국가 정책과 달리 팔레스타인과의 연대를 강화하며, 이는 좌파와 국제주의가 다시 현실적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