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19:10] 한미FTA 저지 투쟁에 빛을 밝혀[5]

원정투쟁단, 촛불문화제로 23일 투쟁 마무리

하얏트 호텔 앞에 한미FTA저지 범국민운동본부 소속 활동가들이 30여 척의 배를 이용해 해상시위를 전개하고 있다. 지금 하얏트 호텔 앞바다에서는...

[포토뉴스] 한미FTA 4차협상 저지 그 시작을 열다[1]

한미FTA 4차협상 저지 문화제

10월22일 한미FTA 4차협상 저지를 위해 전국에서 모인 참가자들이 제주컨벤션센타 앞에서 전야제를 열고, 내일부터 시작할 본격적인 저지투쟁를 ...

'고양이 손이라도 빌릴 우리가 투쟁하러 왔소'[4]

[포토뉴스]한미FTA4차협상 저지를 위한 농민대표자 결의대회

한미FTA 4차협상 저지를 위한 농민대표자들이 제주공항 앞 해태동산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350만 농민들을 대표해서 한미FTA 저지 투쟁을 전개...

가지치기? 5차 협상에서 끝내려는 조속 타결 기도 일 뿐

[4차협상](1)한미FTA 4차 협상 오늘 시작..27일 까지 진행

정부가 밝힌 협상목표는 덜 민감한 부분을 중심으로 빠르게 협상을 진행, 처리하겠다는 것으로, 5차 협상 에서는 '주고 받기'로 큰 쟁점들을 해결...

미국 협상단 입국, 제주 도착[1]

웬디 커틀러 미국 수석대표를 비롯한 미국 협상단 104명이 22일 오후 4시 30분 인천공항으로 입국했다. 저녁 8시 경 김포공항 국내선을 이용...

한미FTA저지 범국본, 제주경찰청에 항의서한 전달[1]

“경찰은 불법적 집회방해 즉각 중단하라”

박석운 범국본 공동집행위원장은 항의서한을 전달하며 “적법하게 신고하는데 왜 집회를 금지하냐”, “관광단체의 집회 신고는 받아주고 실천단은 금지하...

4.3의 재연, 노무현 역사 앞에 당당할 수 있겠는가

범국본 원정투쟁단 제주 입성, 한미FTA 협상 중단 거듭 촉구

범국본은 3시 기자회견을 통해 4대 협상 대응 투쟁을 공식 선언하고, 한미FTA 협상 중단을 촉구했다. 이어 “북핵실험을 이유로 한국과 미국 ...

제주경찰, 1인시위마저 봉쇄...피켓 부수고 몸싸움[1]

도민운동본부, “도대체 어느 나라에 이런 집시법이 있나”

고대언 공동대표는 "표현의 자유가 법으로 보장됨에도 불구하고 FTA를 반대한다는 이유로 1인 시위도 신고해야 한다는 억지 논리를 펴는 것이 이해...

대화가 없다면 산,바다 건너 협상단 만나러 가겠다

[인터뷰](3) 문경식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

오는 11월 22일 농민, 노동자, 청년, 양심있는 지식인들이 함께 전면적으로 거리에 나서는, 민중항쟁을 진행할 것이다. 정부가 아니라면 민중행...

농민원정투쟁단 도착..대표자들 '협상중단'촉구

경찰 기자회견 고립기도로 공항내 한 때 몸싸움 일기도

22일 한미FTA농축수산비상대책위원회 소속 대표자들과 회원들이 제주 공항에 도착했다. 대표자들은 2시 공항내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이해당사자...

"왜 하필 제주냐.." 한미FTA 반대 여론 고조되는 제주[4]

23일 협상 시작, 도민운동본부는 21일 공식 활동 개시

긴장감 높아지는 제주. 도민들 그 누구도 한미FTA와 그 협상단을 반기지 않는다. 김종훈 수석대표의 헬기 이동은 이런 제주도민들의 여론을 반영한...

감귤 농가의 붕괴는 지역경제 초토화 연쇄 도미노 될 것[1]

[인터뷰](2) 임기환 제주도민운동본부 집행위원장

임기환 집행위원장은 “지역 특성상 1차 산업 무너지면 지역경제 붕괴되는 것을 불 보듯 뻔하다는 사실을 대부분의 도민들이 자각하고 있다”고 강조하...

협상단, 4차 협상은 '가지치기' 전술로

16개 분과 및 2개 작업반 회의 23일 부터 시작

한국 협상단은 협정문 쟁점 관련 해, "금번 협상에서 이견이 크지 않은 쟁점을 위주로 '가지치기' 작업을 진행 할 것"으로, " 제5차 협상부터...

“뭐가 두려워 헬기타고 이동하나”

김종훈 수석대표 제주 도착, 도민운동본부 긴급 기자회견 개최

제주도민운동본부는 김종훈 수석대표에게 전달할 항의서한을 들고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헬기로 이동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무엇이 두려워 시간도...

한미FTA '외부 충격' 그 대상은 공공서비스[1]

물, 교육, 필수공공서비스 영역의 시장화 정책 비판

한미FTA저지 공공서비스 공대위는 18일 ‘브레이크 없는 한미FTA, 공공서비스 부문 대응방안’이란 주제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물, 교육 등의 ...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