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한미FTA 반대 이유를 말한다

갈증, 엔론 등 한미FTA 반대 상영회 개최

미디어문화행동, 한국독립영화협회, 아이공 주최, 한미FTA저지 독립영화 실천단 주관의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 한미FTA 반대 상영회가 4...

한미FTA저지 농성 돌입..2차 본협상 까지 강행

1차 본협상 저지, 총력투쟁 결의대회 진행

투쟁선포대회 후 열린시민공원에는 스크린쿼터 사수를 위한 영화인들의 천막 농성 뒤에 새로운 한미FTA 저지를 위한 천막 한 동이 새롭게 설치됐다....

4일(일) 저녁 8시, KBS스페셜에 주목![5]

[한미FTA저지특별기획](25) - 이강택, 'FTA 12년, 멕시코의 명과 암'

한미FTA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 모두 시청하길 바란다. 한미FTA 추진에 혈안이 된 자유무역주의자들도 이날은 드라마 대신 이 방송을...

의지 없음. 한미FTA는 이미 끝났다

[한미FTA저지특별기획](24) - 서준섭, 협정문 초안 분석

쟁점이 부각될 수 없는 초안이죠. 이미 분과도 미국의 통상법, 협정문을 그대로 정한 상태이고, 악법 조항은 그대로 들어가 있고, 혹 쟁점이 될 ...

"세상의 아픔에 대해 예민하게 느끼는..."

[한미FTA저지 연구자의편지](4) - 이정우가 아들에게

아빠는 네가 우리의 역사를 폭넓게 인식하고, 삶과 가치에 대해 깊이 사유하고, 또 세상의 아픔에 대해 예민하게 느끼고,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과...

자발적 상납에 혈안이 된 공공서비스 시장화[2]

[한미FTA저지특별기획](23) - 한미FTA와 공공서비스

에너지 산업 관련하여 남은 것은 자발적 상납을 위해 불필요하게 존재하는 국내법을 정비하고 경쟁과 시장을 촉진하기 위한 제반의 국내적 조치를 매우...

지식의 공유, 창조는 노동자의 권리[1]

[지재권문화제] 도로시 키드 교수의 활동가 워크숍

도로시 키드 교수는 “미국의 지적재산권 강화와 FTA 확산 정책의 배경은 미국 자본 축적의 위기, 경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주장하...

지적재산권 강화, 초국적자본의 독점권 강화 방안일 뿐

[지재권문화제] 한미FTA 저작권 분야 대중 토론회

‘한미fTA저지 지적재산권분야 대책위원회’ 남희섭 위원장은 “한미FTA협상이 저지 되어야 하고, 최소한 지적재산권 분야가 ‘버리는 카드’의 식으...

자본의 문화 상업화를 뛰어 넘자[2]

만화, 음악, 문학, 미술 등 '한미FTA와 문화예술' 논의

문화 예술공간에서 ‘경쟁력’을 요구하고, 눈에 보이는 경제적 수치로 가치평가 되어지고, 생존 여부의 다른 길을 걷게 되는 사회적 구조가 더욱 공...

지식과 건강에 관심있는 사람은, 다 모여라~

23~27일 지적재산권 대책위 문화제 개최, 토론-특별강연-영화제 등 풍성

한미FTA 협상의제로 무엇이 논의되고 있고, 협상이 ‘몰고올 재앙이 무엇인지' 타국의 사례와 싸움의 사례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가'...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