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미FTA협상목표 및 협상문 초안 국회 보고
기존 입장 반복, 선언적 구호의 협상 원칙 재탕
한농연은 성명을 통해 "정부에서 발표한 초안문의 내용은 기존부터 정부가 밝힌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개방을 기조로 민감품목을 보호하겠다...
한농연은 성명을 통해 "정부에서 발표한 초안문의 내용은 기존부터 정부가 밝힌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개방을 기조로 민감품목을 보호하겠다...
한미FTA의 최대 쟁점은 노사관계, 농업, 금융, 서비스 분야이다. 근데 이 분야는 노무현 정부가 알아서(?) 유연화조치와 자유화, 시장화 전략...
FTA를 추진하는 현 정부의 작태는 에너지 문제만으로 국한해 보더라도 실로 망연자실을 금할 수 없다. 안정적인 공급권과 에너지 수급 체계를 관리...
민간대책위는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바람직한 협상대책 마련 노력의 일환으로” 토론회를 준비중이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힌 취...
평택 미군기지확장, 당진 일대의 경제자유구역 유치 추진, 고덕면 국제평화도시 추진 등을 경기지역 현안의 예로 들며 “경기도 지역은 신자유주의 ...
비정규직 노동법, 노사관계 로드맵 그리고 전략적 유연성과 한미FTA는 별개의 사안이 아니다. 이는 모두 신자유주의 세계화 전략의 다른 측면들일 ...
'정부는 한미 FTA와 관련, 11일 열리는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우리측 한미 FTA 협정문 초안을 확정하고 19일 미국과 협정문 초안을 상호 교...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주최, 정보통신부 후원의 한미FTA 통신협상 대비 정책 토론회가 11일 프레스센터 20층 프레스 클럽에서 진행됐...
5월 9일, 한미FTA저지 문화예술공대위는 인사동 문예총 아카데미에서 정책워크샵을 가졌다. 지금종 문화연대 사무국장, 목수정 민주노동당 정책연구...
외교통상부 한미FTA 기획단은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금번 접수기간에 서면으로 접수된 의견은 55개 주요단체에서 129건이며, 이와 별도로 정...
제주지역의 47개 농축수산 및 시민사회단체들은 9일 11시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FTA저지 제주도민운동본부’를 결성하고 본격 투...
전교조는 사회적 이슈가 제기될 때 마다 '계기수업'을 해 왔다. 보수언론들의 집중 포화를 맞았던 전례에 비춰 볼 때 이번 한미FTA와 관련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