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쿼터 절반 축소..영화진흥법 시행령 개정안 통과

한미FTA 협상 저지 투쟁의 전면화, 투쟁은 계속 될 것

정부가 올인 한다면 영화인들도 올인 할 수밖에 없다. 스크린쿼터 축소 저지 뿐만 아니라 교육, 의료 등 한미FTA 저지를 외치는 투쟁에 전면적으...

한미FTA 공식 협상 6월 5일 시작

1차 비공식 사전준비협의 진행, 5월 초 협정문 초안 교환 예정

한미FTA 협상 일정이 정해졌다. 5월 협정문 초안을 교환한 후 6월 5일 부터 본 협상이 시작될 예정으로 이후 1개월 단위로 번갈아 후속협상을...

영화인들 146일간 장외 투쟁 선언

영화산업노조 중심으로 시작, 촛불 문화제도 재개키로

정치인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만드는데 큰 역할을 했던 영화계와 문화계, 나아가 모든 양심적 세력의 분노를 폭발시켜, 노무현 정권 퇴진운동으로 나가...

죽음의 시나리오, 한미FTA 예비협의 중단 촉구[1]

농축수산업계 비대위 구성, 4/15 범국민대회도

한-미 비공식 사전준비협의가 진행되는 6일 오전, 외교통상부 앞에는 ‘협상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줄을 이었다.

"한미FTA 저지투쟁, 호혜의 공동체망 확장하자"

[인터뷰] 심광현 문화연대 정책위원장

3월 7일 교수학술단체 공대위가, 3월 8일에는 시청각-미디어 공대위가 구성될 예정이다. 그밖에 문화예술, 교육분야, 법률, 보건의료 분야 공대...

(KUS)FTA 논쟁과 미디어 시청각 대응 전략

'FTA와 시청각, 미디어 문화 다양성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자

‘FTA와 시청각, 미디어․문화 다양성 대책위원회(가칭)’을 시급히 구성하고, 이를 자본과 제국/신자유주의에 맞서는 상시적 연대조직체...

한미FTA 왜 문제인가[1]

난데없는 한미FTA가 왜 나타났나

정부가 한미FTA를 서두르는 것은 미국의 압력 때문이다. 미국은 한국에 정치군사적으로는 “전략적 유연성”에 합의하도록 하고 경제적으로는 FTA ...

문화연대 “양극화 해소 하려면 한미FTA협상 중단하라”

'협상 타결은 4대 재벌 정점의 극소 부유층만 살찌울 것' 비판

문화연대는 “한미FTA는 4대재벌을 정점으로, 극소수 부유층을 살찌울 뿐, 대다수 서민들에게는 고통만을 안겨주게 될 것"을 경고했다. "양극화 ...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