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세상, 풀무질에 가다

[두 책방 아저씨](2) - 은종복 인문사회과학서점 ‘풀무질’ 주인

세미나 커리를 짜기 위해 하루 종일 서점 한 구석에서 책을 뒤지고 있다. 넉넉지 못한 지갑사정에 보고 싶다고 그 책을 다 살 수 없는 법. 특히 월간지나 계간지를 매 번 사서 본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책장 앞에서 순식간에 이번 달 월간지들을 독파한다. 약속 장소는 늘 학교 근처 그 서점 앞이고, 약속 시간이 남으면 으레 서점에 들어가 이리저리 책을 들춰본다. 서점 앞, 그리고 서점 안은 학생들로 붐빈다.

80년대 그리고 어느 즈음까지 각 대학 앞의 인문사회과학 서점은 학생들에게 하나의 생활공간이었다. 책을 읽고 공부하고 치열하게 고민하는 공간이자, 선후배 동기들과 술 약속을위해 만나고 남는 시간을 죽치고 앉아 보내는 일상의 작지 않은 부분이었다.

주지하다시피 90년대를 거치며 학생운동이 점차 퇴조하면서 이른바 ‘운동권’ 학생들의 생활터이던 사회과학서점도 따라서 하나둘씩 사라지기 시작했다. ‘인문사회과학의 위기’나 ‘사회과학 출판사의 어려움’ 등등은 이제 식상한 얘기가 되었고, 사회과학서점의 경영 위기와 이에 따른 ‘서점 살리기’ 운동이 벌어지곤 했던 얘기도 어느덧 저만치 지나간 뉴스가 되었다.

2005년, 서울대 앞 녹두거리에는 ‘그날이오면’이라는 사회과학서점이 꿋꿋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성대 앞에도 비록 내용과 색깔을 바꾸긴 했으나 명맥을 잇고 있는 서점 ‘풀무질’은 존재하고 있다. 참세상에서는 인문사회과학서적을 소개하는 코너를 기획하면서 이 두 서점의 주인아저씨를 만나보았다.

9월 첫째주부터 인문사회과학서점 <풀무질>, <그날이오면>의 책소개 코너 ‘참세상, 서점에 가다’가 독자들을 찾아간다. 매 달 두 권, 아저씨들이 직접 소개해주는 책과의 만남을 기대하시라.


풀무질은 인문과학서점인가?

인문과학서점을 벗어난 지 7,8년 되어간다. 96~97년 즈음부터 수험서를 팔기 시작했다. 주로 매출은 수업과 관련된 서적, 즉 수험서들이다. 웃긴 일화 중에 교재를 갖다놓고도 어떻게 도서가 구성이 되어 있는지 몰라 못 판적도 있다. 법대의 진보적 학생들이 풀무질을 살리자는 차원에서 새내기들도 데리고 오고 소개시켜주고 하면서 한두권씩 수험서를 들여놓은 계기가 되었다. 현재는 수험자료를 주문하는 학생들까지 있다.

풀무질을 운영하게 된 계기는?

풀무질이라는 서점은 85년 여름에 문을 열었다. 벌써 20년 전 일이다. 나는 그 당시 풀무질이라는 서점을 이용하던 학생이었고, 93년도 4월에 인수하였다. 졸업하고 당시 한겨레신문 배달 일을 했었다. 직장에 취업하고자 이력서 한 장 써보지도 않았다. 그런데 한겨레신문 1년반 돌리다가 다리가 부러지면서 무직상태가 되었고 93년도 즈음 풀무질을 내놓았다는 소식을 듣고 안타까운 마음에 빚까지 져가며 이 책방을 인수하게 되었다.

내가 학교 다닐 때는 운동권이니 비운동권이니 그런 말 쓰지 않았다. 모든 인간은 운동 중이다. 화살이 가속도가 붙어 날아가는 것과 같이, 물이 0도가 되어 얼 때와 같이 인간도 역시 늘 운동 중이다. 그 당시는 ‘운동’이라는 표현보다 ‘진보’라는 말을 더 즐겨 썼다. 자본주의, 가부장제 사회에서 기계적 부속품으로 살지 않으려고 늘 고민했다. 그 당시 우리의 고민은 그런 것이었다.

인문과학서적을 찾는 학생들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서점 운영의 당사자로서 체감도는 어떤가?

91년도 소련이 몰락하면서 인문사회서적이 그 이전보다 덜 팔렸다. 그래도 내가 풀무질은 인수한 93년도 전후로도 성대만도 진보동아리가 100여개 남짓이어서 책이 좀 팔릴 때였다. 그러나 인문사회과학서적 5권 갖다놓으면 1,2권은 반품을 해야 할 만큼 요즘 학생들 인문사회과학서적을 잘 읽지 않는다.

현대 자본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도라고 생각했던 이유로 남녘의 진보운동은 사회주의 이념이 바탕에 깔려있었다. 그러나 91년 사회주의가 몰락되면서 혼란을 겪었다. 한마디로 목표를 잃어 방향을 상실한 듯한. 북유럽의 사회주의의 탈을 쓴 자본주의, 즉 국가자본주의, 중국도 마찬가지다. 그렇기 때문에 맑스 이데올로기는 현재도 유의미하겠다. 그럼에도 대중들에게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안타깝다.

95년도 즈음해서 전자서점이 등장했다. 그나마 책을 보던 사람들도 책방에서 책을 살 이유가 없는 것이다. 또한 영화 같은 영상매체가 발달하면서 문자의 영향력이 날로 쇠퇴하면서 굳이 책을 통해 정보를 얻을 이유가 없어진 것도 이유다. 어디서든 인터넷이 가능하다는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정보는 홍수같이 쏟아지고 있다.

풀무질 옆에 있던 논장이라는 서점도 작년 4월에 문을 닫았다. 논장이 처음 문을 열 때 학생 50여명이 자금을 모아서 연 것이었으나, 결국 문을 닫고야 말았다.

책을 사는 학생들에게 ‘글’을 주고 계신 듯, 특별한 이유나 계기가 있는가?

전쟁반대, 반세계화 반대 등 촛불집회에 나가고 싶은데 서점을 운영하느라 못 나간지 꽤 되었다. 이로 나름의 부채감이 있다. 그래서 하루 3~4시간 쪼개 책을 읽고 글도 쓰고 한다. 답답한 마음에 쓰는 것도 있다. 요즘 학생들은 영혼을 맑게끔 잠시 쉬어갈 여유와 공간이 없는 것 같다. 그래서 우리 서점에 오는 학생들은 쉬어가라고 내가 쓴 글을 나누어주고 있다. 반응도 나쁘지 않다. 물론 귀찮아하는 학생도 있지만 글 한쪽은 받아놓으면 어디서든 읽을 수 있어서인지 대부분 좋아한다.

인문사회과학서적의 현재적 의미와 중요성은 무엇일까요?

요즘 학생들은 광장문화가 없다. 모두 '방'문화로 변화되고 있다. 이전에는 공동창작 같은 것을 기획하여 광장 즉 대학 노천극장에서 일반사람들과 어울리려는 시도도 많이 했었다. 그러나 요즘은 노래방이다 비디오방이다 모두 방에 모여 1대1로 대화한다.
그런 의미에서 인문사회과학서적은 또 책방은 만남의 장소이다. 진리를 만나고 세상을 보는 비판적 시각을 키워나가는 장소가 아닐까 한다.

첨언하자면 우리 모두는 잘 살고 싶어한다. 그 모습이 재력이든 명예든 간에 성공을 꿈꾸며 살아간다. 그러나 얄궂게 내가 행복한 만큼 어떤 이는 불행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존재하고 있다. 그것이 미국 같은 큰 나라가 만든 돈의 질서다.
백기완 선생이 이런 말씀을 하셨다. “너도 잘살고 나도 잘살고, 너도 일하고 나도 일하고, 우리가 올곧게 잘 사는 해방공동체” 나는 인문사회과학서적의 의미는 그러한 공동체적 의미에 대한 깨달음이라고 생각한다.

벌써 12년째 책방을 운영하고 계신다. 1시간 가량 기자가 보기에는 왠지 이곳 학생들에게 추억의 장소일 듯한데, 어떤 에피소드 없는가?

지금은 핸드폰이라는 직접적이고 신속한 연락기구가 있었지만 불과 10여년 전에는 그렇지 않았다. 그래서 책방 앞에 메모판, 알림판 같은 것을 설치해 두었는데 학생들이 약속장소를 공지하거나 갑자기 장소가 바뀌었을 때 이용하고 했다. 그때는 매일 알림판을 바꿔주지 않으면 헷갈릴 정도로 이용하는 학생이 많았는데 요즘은 1주일에 한번씩 바꾸어준다.

돈도 빌려가는 학생이 있다. 술값이 부족하다, 차비가 없다는 이유로 돈도 빌려가고는 했다. 그때는 얼굴도 다 알고 그만큼 서로에게 신뢰도 있어서 가능했던 것 같다. 또 책방에다 책도 맡겨 놓고 그랬다. 주로 나는 중간에서 전달하는 역할이었다. 또 시위하다 깃발도 맡겨 놓고 유인물도 맡겨 놓곤 했다.

요즘 대형서점이 난립하고 있다. 그러면서 주변에서 책방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런 상황 가운데 풀무질은?

안타깝다. 돈의 질서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모습이. 사실 내일일은 알 수 없다. 그러나 현재는 닫을 생각은 없다.(씁쓸한 웃음)
태그

풀무질 , 책소개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조수빈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역시 지나가다..

    "두 책방 아줌마"라고 하면 그 느낌은 또 어떨까.. 왜 두 책방 아저씨만 있고, 두 책방 아줌마는 없을까.. 진보책방을 운영하는 사람들도 왜 모두들 남자들일까? 그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 역시 지나가다..

    "두 책방 아줌마"라고 하면 그 느낌은 또 어떨까.. 왜 두 책방 아저씨만 있고, 두 책방 아줌마는 없을까.. 진보책방을 운영하는 사람들도 왜 모두들 남자들일까? 그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 풀무당

    은형,...
    오랜만이오...
    이곳 분당으로 와서 명륜동에 나갈 일이 없어 풀무질에 갈 일도 없엇는데
    이렇게 다시 만나는 구료...
    모두들 잘 지내길...
    모다들...
    나? 이게 잘 사는 건지...원...
    하여간 죽지는 않고 있소만...

  • 풀무당

    은형,...
    오랜만이오...
    이곳 분당으로 와서 명륜동에 나갈 일이 없어 풀무질에 갈 일도 없엇는데
    이렇게 다시 만나는 구료...
    모두들 잘 지내길...
    모다들...
    나? 이게 잘 사는 건지...원...
    하여간 죽지는 않고 있소만...

  • 은종복

    형 오랜만입니다. 가끔 전자 누리집에서 보게 되네요. 잘 계시지요.
    대학로에 올 일 있으면 책방에 한 번 들러 주세요.
    '풀무당'이라는 말이 참 반갑네요. 어제 한 번 다시 그 때 그 사람들 다시 만날 수 있을지.

  • 삼성대

    삼성대생으로서 책은 꼭 여기서 사야겠다고 마음 먹었습니다.

    근데...저도 이 책방이 있다는 것을 너무 늦게 알아서;;
    친구들에게도 광고를 많이 해야겠습니다.

  • 삼성대

    삼성대생으로서 책은 꼭 여기서 사야겠다고 마음 먹었습니다.

    근데...저도 이 책방이 있다는 것을 너무 늦게 알아서;;
    친구들에게도 광고를 많이 해야겠습니다.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