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만도 못한 반MB 경제정책*

[칼럼] 금리인상, 환율인하...긴축정책이 과연 진보인가?

MB정부의 확장정책이 성장과 고용의 증대를 가져오기 어렵고 인플레 논쟁에 휩싸이는 이유는 바로 이렇게 확장정책이 성공할 수 있는 정책적 조건을 ...

전쟁사업 만한 사업이 없다[2]

[해외] 리비아 공습으로 누가 이득을 얻나

거짓말, 위선, 음모. 이것은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리비아 독트린을 자국과 세계에 설명할 때 강조하지 않는 단어다.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

“이제 ‘진짜 민중미술’을 하고 싶다”[1]

[이원재의 예술,대화] 행복한 파견미술가 이윤엽 판화가

‘여기 사람이 있다’ 용산 철거민 투쟁의 상징처럼 남은 이 한 장의 이미지. ‘파견미술’이라는 이름으로 철저하게 현장에 착근하는 판화가 이윤엽의...

서울대병원 청소노동자 두 번 죽이는 검찰 그리고 조선일보

[기고] 더 이상 우리의 목소리를 짓밟지 마세요

저는 서울대병원에서 청소하는 노동자입니다. 또한 서울대병원 청소노동자들의 노동조합 공공노조 의료연대 서울지부 ‘민들레분회’의 조합원입니다. 오늘...

핵발전소 폭발사고는 자연의 경고[1]

[칼럼] 자연에 대한 오만, 과학에 대한 맹신이 자초한 인재

혹자들은 핵발전소가 아니면 대안이 있냐고 걱정한다. 당장 전력공급 대안이 없으니 핵발전소 가동을 당장 멈추거나 폐쇄를 하라고 요구할 수는 없지 ...

한국 청소년 ‘더불어 사는 능력 세계 꼴찌’

[기고] 줄 세우기 강조한 교육의 결과... 더불어 사는 삶 가르쳐야

지난 3월 27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국제교육협의회의가 2009년 국제시민의식교육연구(ICCS)를 바탕으로 36개국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

“착하게 살던 아저씨들을 투사로 만드는 세상”[1]

[현장르포] “왜 버스 안 와요?” (2)

80여 일로 치닫는 파업사태에 생계는 어쩌시냐고 물었더니, “어렵쥬. 이혼한 집들도 많아유”하는 대답이 돌아온다. 파업 대오들은 대부분 40, ...

“버스사업주, 시장, 도지사, 민주당 다 한통 속”[2]

[현장르포]“왜 버스 안 와요?” (1)

민주당이 진정 노동자들을 위한 정권, 서민을 위한 정권을 표방한다면, 멀리 갈 것 없다. 홍대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GM대우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공격적 해외 완성차공장 신설, 치킨게임의 끝은?

[기고] 해외 완성차 공장 신설과 노동조합의 대응

2011년 단체협약을 준비하면서 좀 더 분명한 해외공장에 대한 노동조합의 역할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노동조합의 전략적 목표를 구체화 하고 공...

오리무중 과학벨트, 경제자유구역 판박이

[연재]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약인가 독인가 (1)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에 관한 논란이 끝이 없다. 정치권, 지자체, 시민사회까지 지역별로 나뉘어져 목소리를 드높이고 있다. 과학벨트가 무...

썩어가는 것들에 맞선 투쟁[2]

[기고] 대중과의 소통과 사회주의에서 길을 찾자

새로운 운동, 사회주의 운동은 노사협조주의, 관료주의, 자본 앞에 무릎 꿇은 진보, 행세식 활동 등의 낡고 부패한 것들과의 지치지 않는 투쟁 가...

“저것 치워”

[칼럼] 간접고용이 떼어먹는 인간의 권리

청소하러 온 것뿐인데 그녀들은 VIP가 나타나면 "저것 치워."같은 지시를 받았다. 장관이나 공항공사 사장 같은 높은 사람들이 오면 "화장실이든...

학생인권조례 주민발의 운동의 위기, 무엇을 하고 있는가

[기획연재] 학생인권조례, 우리 손으로 (5)

마음이 무겁다. 정말 무겁다는 말밖에는 지금의 마음을 표현할 길이 없다.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고 있는 건 다른 것이 아니다. 서울특별시학생인권조...

요르단 계곡-삶에 대한 모독과 싸우는 팔레스타인 사람들

[연속기고] 팔레스타인 ‘땅의 날’ (2)

이스라엘이 자신의 입장을 양보하고 국제사회의 법윤리에 따를 것이라는 생각은 달콤한 망상일 뿐이다. 현재 팔레스타인은 사방이 이스라엘에 둘러싸인 ...

논설
사진
영상
카툰
판화
기획연재 전체목록